영원히 기억될 이름, 칼 라거펠트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Fashion

영원히 기억될 이름, 칼 라거펠트

영원할 것만 같던 칼 라거펠트의 시대가 막을 내렸다. 누구보다 바쁘게, 그 누구와도 다르게 살아왔던 남자. 지금 이 순간을 사는 것이 곧 자서전이라 말했던 라거펠트의 시간들을 반추해보았다.

BAZAAR BY BAZAAR 2019.04.10

KARL

ON LIFE

우리가 몰랐던 칼 라거펠트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짙은 선글라스 뒤에서 무표정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칼 라거펠트의 안경 너머 ‘진짜’ 모습을 본 사람이라면, 그리하여 또 다른 라거펠트, 혹은 그의 자아 중 하나를 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으리라.” 칼의 어록을 모은 책 은 위와 같은 서두로 시작한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라거펠트의 모습은 마치 만화 속 캐릭터처럼 현실감이 결여되어 있다. 클로에의 수석 디자이너를 거쳐 펜디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샤넬의 수장으로, 매해 10회 이상의 컬렉션을 쏟아내는 엄청난 에너지의 소유자라는 것, 그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연유 사업을 하던 아버지와 속옷 판매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13살에 이미 자신의 게이인 것을 깨달았고, 롤랜드 칼이라는 가명을 사용해 장 파투 하우스에서 그리 환영받지 못한 데뷔 컬렉션을 치러낸 인물이기도 하다.

칼의 풍경 사진집 <Casa Malaparte> 중 한 컷.1986년, 라거펠트가 그린 안나 피아지의  모습. 
연인이었던 자크 드 바셔. 칼이 모델이 된 코카콜라 라이트 캠페인.1979년 클로에의 잡지 광고. 
클로에의 수석 디자이너 시절 칼 라거펠트.

아울러 발렌티노부터 슈퍼마켓 모노폴리까지 다양한 브랜드를 위해 온갖 디자인을 하는 프리랜스 디자이너 생활도 했다. 뛰어난 일러스트레이터이지만 한 번도 그림을 배운 적이 없고, 풍경 사진에 흥미를 느껴 두 권의 사진집을 발간한 적이 있다. 특히 그의 연인으로 알려진 자크 드 바셔와의 로맨스는 한 편의 영화를 방불케 했다. 20여 년간 함께했음에도 잠자리를 한 적이 없는 플라토닉 러브였음을 고백한 것에 이어(이브 생 로랑을 비롯해 그가 수많은 남녀와 염문설에 휩싸였음에도!), 에이즈로 세상을 떠난 바셔의 마지막 순간을 지킨 유일한 남자였으니. 그의 일상 역시 평범하지 않았다. 뜨거운 음료가 맞지 않는다며 눈뜬 순간부터 잠자리에 들 때까지 코카콜라 라이트만을 마신다는 일화(후에 그는 해당 음료와 협업을 진행하고 모델로도 활약한다), 매일 15분가량을 투자해 드라이 샴푸로 백발을 더욱 강조한 뒤 포니테일로 묶는 시간을 ‘스타일링 타임’이라 일컬으며 혼자만의 인형 놀이를 즐긴다는 얘기 등, 그에 대해 알면 알수록 전설적인 디자이너가 아닌, 매력적인 인격체로서의 칼 라거펠트가 더욱 궁금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생전의 그는 선글라스를 가면 삼아 속내를 감춘 채 철저히 ‘칼 라거펠트’로만 보이길 원했다.

 

1 2019 F/W 펜디 쇼 피날레에 상영된 영상의 한 장면.2 파올라, 안나, 프랑카, 카를라, 알다 펜디와 칼 라거펠트.3 펜디 창립 90주년을 기념하며 로마 트레비 분수 앞에서 쇼를 진행한 칼 라거펠트.

펜디의 가족, 샤넬의 전설적인 용병

2019 F/W 펜디 쇼는 칼 라거펠트의 마지막 컬렉션으로 어느 때보다 엄숙하고 뜨겁게 달아오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피날레에 상영된 라거펠트 영상에 많은 이들이 눈물을 흘리며 애도했다. 펜디 패밀리와 칼 라거펠트의 히스토리를 보고 듣노라면 누구나 가족 같은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1965년 칼 라거펠트는 오랜 역사를 가진 가죽 & 모피 하우스 펜디에 일원으로 합류하게 되었는데, 당시 브랜드를 이끌던 5명의 자매들은 젊은 독일인 디자이너가 회사에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길 원했다. 1994년부터는 안나의 딸 실비아 벤추리니 펜디가 가죽 컬렉션의 디렉터로 칼과 협업을 시작하게 된다. “칼을 처음 봤을 때 저는 어린아이일 뿐이었습니다. 끈끈하고 진심 어린 애정을 바탕으로 우리는 아주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그는 저의 멘토이자 판단 기준이었습니다. 눈빛만으로도 서로를 이해할 수 있었죠. 그가 사무치게 그리울 겁니다.” 실비아의 추모 글에서도 존경, 그 이상의 애정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2019 F/W 펜디 쇼 피날레에 상영된 영상의 한 장면.
1965년 첫 번째 컬렉션을 입은 라거펠트와 어린 시절의 실비아.
2016 F/W 컬렉션 피날레의 칼과 실비아.
펜디에서 칼 라거펠트가 그린 수많은 스케치들1.
펜디에서 칼 라거펠트가 그린 수많은 스케치들2.

한편 카라 델레바인, 페넬로페 크루즈 등 칼 라거펠트의 사단이 런웨이에 등장한 샤넬 쇼는 그에게 보내는 우레와 같은 박수와 함께 마무리되었다. “궁극적으로 나는 외국인 용병입니다. 샤넬을 영원히 지속시킬 것을 명령받은 군인이죠. 샤넬과 함께라면 결코 패할 일이 없을 겁니다.”

갤러리로 변모한 2014 S/S 샤넬 컬렉션의 런웨이.산타모니카 공항에서 제트기를 배경으로 진행된 2007 샤넬 크루즈 쇼.
2014 S/S 샤넬 런웨이엔 피켓을 든 모델들이 쏟아져 나왔다.대형 마트로 꾸며진 2014 F/W 샤넬 컬렉션의 그랑 팔레.(왼쪽) 2014 S/S 샤넬 런웨이엔 피켓을 든 모델들이 쏟아져 나왔다. (오른쪽) 5 샤넬 수트를 입은 사이보그 소녀들이 등장한 2017 S/S 컬렉션.

1982년 샤넬의 수장으로 부임한 칼 라거펠트는 그가 사랑한 코코 샤넬의 스타일에 자신의 색을 덧입히며 무려 35년간 하우스를 이끌었다. 특히 그가 컬렉션을 통해 보여준 쇼 메이커로서의 천부적인 재능은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매 시즌마다 혁신적인 데커레이션으로 꾸며진 그랑 팔레의 모습은 많은 이들의 패션 판타지를 자극했으니 말이다.

 

 

라거펠트가 사랑한, 라거펠트를 사랑한

칼 라거펠트의 85년 인생에서 그의 동료, 뮤즈 혹은 동반자가 되어준 이들이 여기에 모였다.

샤넬의 뮤즈 카라 델레바인과 릴리 로즈 뎁.인생의 동반자, 고양이 슈페트.그의 일러스트 속 단골 모델이었던 안나 피아지.라거펠트의 후임, 버지니 비아르와 대자인 허드슨 크로닉.

오랜 뮤즈 클라우디아 시퍼와 함께한 1992년 미국 <바자>의 한 컷.패션과 뷰티를 넘나든 샤넬의 뮤즈 크리스틴 스튜어트.그의 뮤즈이자 절친한 벗, 이네즈 드 라 프레상주.

 

칼 라거펠트가 우리에게 남긴 말들

내게는 세 가지 소명이 있다. 패션, 사진, 그리고 책이다. 이 모든 것이 나에게 영감을 준다.”

나는 찰나를 사랑한다. 그래서 패션은 내 천직이다.”

What is the Source of My Energy? EDF(Envy, Desire, Forcefulness).내 에너지의 근원은 무엇인가?  EDF(욕심, 갈망, 단호함).”

복수는 천박하고 끔찍한 것, 나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누군가 몹쓸 짓을 했는데 굳이 되갚아 주지 않을 건 또 뭔가. 사람들이 이젠 잊었겠지 할 때쯤 ‘의자’를 뒤로 확 빼버리리라. 한 10년 후에라도 말이다.”

에너지란 반드시 즉각적으로 발현해야 한다. 무한정 보관할  수 있는 에너지란 없다.  물론 에너지를 저장해 전기를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창의력은 나오지 않는다.”

변하지 않는 단 한 가지. 그것은 영원한 것은 없다는 사실. 인생의 무상함, 패션의 덧없음. 이보다 더 나와 잘 어울리는 건 없다.”

나는 뭔가 알게 되는 걸 사랑한다. 모든 걸 알았으면 좋겠다. 나는 지성인이 아니다. 우주의 ‘청지기’ 같은 사람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은 전에 해본 적이 없는 일을 하는 것이다.”

언젠가 어떤 늙은 바보들이 말하는 걸 들었다. ‘우아함은 죽었다.’ 나는 이렇게 대꾸했다. ‘아니지요. 우아함의 얼굴만 바뀌었을 뿐이랍니다.”

솔직히 난 사람들이 내가 못됐다고 여기는 게 좋다. 사실을 말하자면, 난 좀 모자란다.”

자기 자신한테 동의하라. 그 순간 비로소 내가 원하는 나를 끌어낼 수 있다.”

내 안은 텅 비어 있다. 그리하여 내 안에서는 모든 시대정신이 청아하게 메아리치고 있다.”

whatever it is, I do perfectly, namely ‘Professional Killer’. (나는 무슨 일이든 100퍼센트 확실하게 처리한다. 한 마디로 나는 ‘전문 킬러’다.)”

I Exist, at the Same Time  in Not. (나는 존재하는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썩어 없어지는 존재다. 내가 남긴 말도 마찬가지다.”

Keyword

Credit

    에디터|이 진선,사진|Rex Features& Getty Images& Distributed Art Pub Inc& Coca Cola& Chanel& Getty Images& Rex Features& Instagram& Getty Images& Rex Features& Firstview Korea& Fendi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