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한 해, 실패하지 않는 계획 세우기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남은 한 해, 실패하지 않는 계획 세우기

2022년이 벌써 반이나 지났다. 혹시 새해에 한 다짐들이 작심삼일로 그치지는 않았나. 하지만 아직 좌절하긴 이르다. 남은 시간, 목표한 것들을 이룰 수 있도록 더욱더 확실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BAZAAR BY BAZAAR 2022.07.05
새해 목표가 작심삼일로 그친 이유가 무엇일까? 다이어트, 영어 공부, 독서처럼 막연한 목표가 실패의 원인일 수 있다. 자, 지금부터 계획표에 OKR을 적용해보자. OKR은 인텔에서 고안되어 구글 등 실리콘밸리에서 널리 쓰이는 목표 달성 방법론 중 하나다. 나의 마음을 설레게 하는 목표인 O(Objectives)와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달성해야 하는 수치인 핵심 결과인 KR(Key Results)로 구성되어 있다. OKR로 목표와 핵심 결과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뒤 꾸준히 반복하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사진 언스플래쉬

사진 언스플래쉬

1단계. 목표를 다시 설정한다
OKR에서 O는 좀 더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궁극적인 꿈이며 KR은 그 목표의 성공을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치화된 기준이다. O를 정하기에 앞서 내가 왜 이것을 이루고 싶은지 생각해봐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가 목표였다면, “나는 왜 다이어트를 하고 싶은가?”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 하는 것이다. 질문에 대한 답이 바로 O가 될 수 있다. ‘다이어트’ 대신 “좋아하는 일을 오래 할 수 있도록 체력을 기르자!” 같은 것 말이다. 그다음 현재 상황을 고려해 수치화할 수 있고 검증할 수 있는 KR을 설정한다. ‘체력 기르기’라는 O에 대해 “한 달에 100킬로미터 달리기”라는 KR을 설정하는 것이다.


 
 
사진 언스플래쉬

사진 언스플래쉬

2단계. 계획을 쪼갠다
계획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천이다.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과 활용할 수 있는 시간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자기 능력을 과대평가하면 무리한 계획을 세우기 쉽다. 일주일간의 생활 패턴을 돌아보고 활용할 수 있는 시간대를 찾아 능력에 맞는 세부 계획을 집어넣는다. “한 달에 100킬로미터 달리기”라는 KR을 위해 “주 5일간 아침마다 5킬로미터씩 달리기”라는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계획은 반복을 통해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몇 시에 집을 나서서 어떤 코스로 돌아올 것인지도 정해두면 망설임 없이 곧바로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진 언스플래쉬

사진 언스플래쉬

3단계. 진행 과정을 기록한다
변화가 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때 실천한 내용을 기록함으로써 발전 과정을 시각화하자. 예를 들어 일주일에 5번, 하루에 5킬로미터씩 달리며 언제 얼마나 달렸는지 기록하는 것이다. 매일매일 가시적인 성과가 쌓이면 현재 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자연스레 재미와 성취감도 생긴다.
 
 
 
사진 언스플래쉬

사진 언스플래쉬

4단계. 매주 계획을 점검한다
매주 진행 과정을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는 지금까지의 진척 상황을 살피고, 어려웠던 부분이 있었다면 이를 분석해 계획을 바꾸는 것이다. 금요일이나 한 주의 끝에는 잠깐이라도 시간을 내서 일주일의 성과를 돌아보고 스스로를 격려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시간이 다음 한 주, 도전을 지속할 힘이 된다. 계획을 실천하고 점검하며 나아가다 보면 올 연말, 목표를 이룬 내가 되어 있을 것이다.
 

Keyword

Credit

    프리랜스 에디터 / 어거스트
    사진/언스플래쉬(Unsplash.com)
    참고/〈계획이 실패가 되지 않게〉
    이소연 저
    다산북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