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와 부정출혈, 어떻게 구분하나요? #궁금한이야기Y존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Beauty

생리와 부정출혈, 어떻게 구분하나요? #궁금한이야기Y존

생리를 했는데 또 하는 이유?

BAZAAR BY BAZAAR 2022.01.19
생리와 부정출혈 구분이 어렵다면 주목! 서울라헬여성의원 정미나 원장이 답하는 월경장애에 관한 질문들. 
 
생리가 끝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약 3~4일 후 또 생리를 시작해요. 생리일까요? 부정출혈일까요?
정상 월경은 주기가 21~35일, 기간이 2~7일로 정의하며, 정상 월경이 아닌 질 출혈은 비정상 자궁 출혈(부정출혈)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월경이 끝나고 3~4일 후 다시 출혈이 시작되었다면 비정상 자궁 출혈에 해당합니다.
 
생리를 바로 하는 이유 또는 부정출혈이 생기는 원인이 있다면요?
비정상 자궁 출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기능성 자궁 출혈입니다.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폴립(용종), 난소 낭종, 염증 등의 질환도 질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원인으로 피임약 등의 약물, 갑상선 호르몬 이상, 다낭성난소증후군 등의 질환이 있으며,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도 질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상 임신 및 자궁외임신도 원인이 될 수 있죠.
 
평소에도 월경장애를 종종 겪었어요. 최근에 주기가 잘 맞나 싶었는데, (허리)통증으로 인해 소량의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뒤, 생리가 끝난지 얼마 되지 않아 또 하는 것 같아요. 생리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될 수 있나요?
배란과 월경을 조절하는 성 호르몬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므로 외부에서 투여하는 스테로이드 약물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불규칙 월경, 비정상 자궁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월경장애,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어떤 검사를 해봐야 하나요?
원인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전문의 진료 및 상담이 필요하며, 검사로는 자궁과 난소에 대한 골반초음파, 혈액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에서는 출혈 양상과 의심되는 질환에 따라 각종 호르몬 검사, 빈혈 검사, 혈소판 및 혈액 응고 이상 관련 검사, 임신 반응 검사 중 필요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자궁경부 및 질 검진 후 필요한 경우, 자궁경부암 검사, 염증 검사를 진행합니다. 자궁내막암이나 자궁내막폴립 등의 자궁내막 이상이 의심된다면, 자궁내막조직검사, 자궁내시경 검사를 고려합니다.
 
부정출혈 예방법이 있다면요?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월경 주기, 패턴을 잘 확인하는 것입니다. 변화가 발생하고 지속적이라면 산부인과 진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부정출혈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진행합니다. 자궁 및 난소의 질환으로 인한 출혈이라면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궁근종, 난소 낭종, 자궁내막폴립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며, 갑상선호르몬 질환, 염증이나 다른 원인 질환이 있다면 그에 대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기능성 자궁 출혈,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의한 무배란성 출혈은 일차적으로 호르몬 치료를 고려합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약제는 경구피임약입니다. 출혈량이 너무 많거나 빠른 조치가 필요한 경우, 고용량 호르몬제나 소파수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Weekly Hot Issue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