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STYLE
소비자 대부분이 몰랐던 물티슈 원료의 진실
물티슈가 플라스틱 일회용품이라고?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매일 1장~2장은 사용하는 물티슈, 하지만 대다수 소비자들은 물티슈가 플라스틱 일회용품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단체 소비자시민모임은 물티슈 사용량 설문 조사 결과 하루에 물티슈 1~2장을 쓴다는 응답이 58.8%로 가장 많았다고 6일 밝혔다. 뒤를 이어 3~5장 17.1%, 5~10장 10.4%, 10장 이상 4.3% 순이었다. 물티슈를 거의 안 쓴다는 응답은 9.4%에 불과했다.
설문은 지난달 10일부터 15일까지 20대 이상 소비자 636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번 설문을 통해 많은 소비자가 물티슈가 플라스틱임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에서 물티슈 원료를 플라스틱이라고 지목한 소비자는 34.9%에 불과했다. 나머지 중 43.4%는 펄프, 21.7%는 섬유라고 답했다.
천연 펄프, 펄프를 정제한 레이온, 대나무 종이 등을 원료로 한 극히 일부 제품을 빼면 국내 유통되는 대부분 물티슈는 플라스틱 원료인 폴리에스테르 100%나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 혼방으로 제작된다.
물티슈 용도로는 식탁이나 탁자 등을 닦는 행주 대신 쓰는 응답자가 39.8%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바닥 등을 닦는 걸레 대용 36.0%, 개인위생용 24.2% 순으로 집계됐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우리가 물티슈를 쉽게 쓰고 버리면 그만큼 생태계와 환경이 파괴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진 임병선 기자 / 뉴스펭귄
설문은 지난달 10일부터 15일까지 20대 이상 소비자 636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번 설문을 통해 많은 소비자가 물티슈가 플라스틱임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에서 물티슈 원료를 플라스틱이라고 지목한 소비자는 34.9%에 불과했다. 나머지 중 43.4%는 펄프, 21.7%는 섬유라고 답했다.
천연 펄프, 펄프를 정제한 레이온, 대나무 종이 등을 원료로 한 극히 일부 제품을 빼면 국내 유통되는 대부분 물티슈는 플라스틱 원료인 폴리에스테르 100%나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 혼방으로 제작된다.
물티슈 용도로는 식탁이나 탁자 등을 닦는 행주 대신 쓰는 응답자가 39.8%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바닥 등을 닦는 걸레 대용 36.0%, 개인위생용 24.2% 순으로 집계됐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우리가 물티슈를 쉽게 쓰고 버리면 그만큼 생태계와 환경이 파괴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Credit
- 기사 제공 / 뉴스펭귄 (임병선 기자)
Summer fashion trend
셀럽들이 말아주는 쏘-핫 여름 패션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하퍼스 바자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