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지훈의 두 얼굴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Celebrity

주지훈의 두 얼굴

우아하다. 동시에 퇴폐적이다. 배우 주지훈은 공존하기 어려운 두 가지 매력을 동시에 갖춘 드문 남자다. 그리고 올해는 아무래도 그의 해인 것 같다. 여름에 개봉하는 영화 <신과 함께-인과 연>과 <공작>, 그리고 하반기에 찾아올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과 영화 <암수살인>까지. 강력한 작품들 속에서 그가 가진 묘한 매력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BAZAAR BY BAZAAR 2018.07.27

이너와 코트는 모두 Givenchy 제품.

남자들의 세계에서 ‘형’이라고 불리는 남자가 있고, ‘형님’이라고 불리는 남자가 있다. 촬영을 하면서 느낀 건데, 주지훈은 후자인 것 같다.

아니다. 형 소리를 들어본 지도 오래됐다. 3년 전 영화 <아수라>를 찍을 때부터 맨날 형들이랑 있고, 현장에서도 계속 막내의 역할을 해온 느낌이다. 이제 서른일곱 인데.(웃음) 많은 배우들이 한자리에 모인 <신과 함께>의 현장에서도 본의 아니게 분위기 띄우고 고기 굽는 포지션이었던 것 같다. 

올여름의 남자로 등극했다. <신과 함께-인과 연>과 <공작>이 연이어 개봉 한다. 우선 개봉이 일주일 빠른 <신과 함께-인과 연>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보자. <신과 함께-죄와 벌>은 성공적인 한국형 판타지로서 인기가 좋았는데, 두 번째 편에서는 무엇을 기대하면 되나?

처음부터 두 편을 함께 찍었는데 배우들 대부분이 1편보다 2편의 대본을 더 좋아했다. 1편에서는 지옥에 대한 묘사나 인물에 대한 소개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좀 더 설명적인 부분이 있었다면, 2편은 드라마가 훨씬 더 세다. 감정적으로 풍부하고 이야기가 깊다. 그러니까 더 재밌을 수밖에. 사실 첫 편에서는 하정우 형과 향기, 내가 연기한 저승 삼차사가 좀 기능적인 역할을 한 부분이 있다. 이번에는 삼차사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삼차사가 왜 저승사자가 됐는지, 이 세 명이 왜 함께 다니는지, 어떤 기억을 잃어 버린 건지에 대한 전사가 나오는 거다. 이번 편에 새롭게 등장하는 성주신이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것까지는 예고편에도 나오니까 말하자면, 성주신이 우리를 처음에 저승으로 데리고 갔던 차사였던 거다.  

성주신을 연기한 배우 마동석과의 케미도 기대된다. 제작보고회에서 마동석과 3초 이상 눈 마주치기 어렵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는데 그분이야말로 정말 ‘형님’이지 않나.

그런데 그 덩치 안에 순한 어린 양이 있다. 동동이 형은 정말 너무 귀엽다. 

이 시리즈는 계속해서 나올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렇게 확장성이 좋은 한국 영화가 그동안 없었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주호민 작가의 원작 웹툰 자체가 워낙 방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다른 콘텐츠와 합작할 수 있는 여지도 많다. 저작권의 문제가 있겠지만 서로 합의가 된다면 외국처럼 다른 작품의 캐릭터들이 이 작품 속으로 들어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광해>나 <대립군>의 인물들이 이 영화 안에 들어오면 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질 테니까. 소재가 무궁무진한 거다.  

확장성의 전제조건은 결국 흥행일 텐데, <신과 함께-죄와 벌>이 흥행에 성공해서 그 가능성도 커졌다고 볼 수 있겠다. 이 시리즈가 본인에게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

영화를 바라보는 시야를 확장시켜준 것 같다. 며칠 전에 하정우 형이랑 길을 걷다가 이런 얘기를 했다. 팬의 입장에서는 <추격자> 같은 영화를 보면서 “야, 영화는 저렇게 찍어야 돼.”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사실 그 영화도 어떻게 하면 관객에게 사랑받을 수 있을지 어마어마하게 고민한 작품이라고. 하정우 형처럼 다양한 작품을 하는 사람도 예술영화와 대중영화를 나누고 있지 않더라. 어떤 작품을 굉장히 예술적으로 만들고 싶어하면서도, 동시에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한다. 이러한 점이 나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동안 나는 이 두 가지를 분리시켜서 생각해온 것 같다. 

수트는 Thom Browne, 셔츠는 Juun.J, 타이는 Givenchy, 브로치는 Jamie & Bell, 슈즈는 Jimmy Choo 제품.

영화 속에서처럼 저승에서 신들을 만난다면 살인, 나태, 거짓, 불의, 배신, 폭력, 천륜 등 어느 관문의 재판이 가장 통과하기 어려울 것 같나?

거짓지옥. 영화를 찍으면서도 누가 이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선의의 거짓말을 포함해서 거짓 없는 삶을 살기란 정말 힘들지 않나. 일단 거짓 미소부터가 그렇다. 아무리 피곤해도 ‘매너 없다’는 이야기를 듣기 싫어서 웃게 되니까.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순수하게 나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봐야 하는 것 같다. 아, 불의지옥도 마음에 걸린다. 불의를 보고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꽤 있기 때문에.(웃음) 사실 환생할 자신이 별로 없다.

나는 나태지옥을 걱정했다.(웃음)

한국 사람들은 열심히 살고 있으면서도 좀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나는 생각보다 되게 열심히 살고 있다. 하루에 다섯 시간 정도밖에 안 자면서. 

작품의 수만 보아도 나태지옥에는 가지 않을 것 같다. 주연 배우로 출연한 두 편의 영화가 동시에 개봉하는 것은 어떤 기분인가? 한 편의 영화의 흥행이 다른 한 편의 영화의 스코어에 영향을 미칠 텐데, 어느 한쪽을 응원할 수도 없는 조금은 묘한 기분일 것 같다.

그냥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한다. 장르나 캐릭터 면에서 유사성이 있으면 많이 걱정이 됐을 텐데 완전히 반대의 지점에 있는 작품들이라. 점심에 중식을 먹고 저녁에 한식을 먹는 것처럼 관객이 함께 즐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가족과 함께 즐겁게 <신과 함께>를 보고 나서 혼자서 묵직한 울림이 있는 영화를 보고 싶으면 <공작>을 보는 것도 좋을 것 같고. 어찌 됐든 한국 관객이 가장 영화관을 많이 찾는 시기에 부려볼 수 있는 욕심인 거다. 사실 모든 한국 영화가 잘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모든 감독과 모든 배우들이 피 토하듯이 영화를 만들고 있다는 걸 절감하게 되는 요즘이라서. 

<공작>에 출연한 배우들은 인터뷰에서 하나같이 쉽지 않은 현장이었다고 말하던데, 어떤 점이 가장 힘들었나?

북한 군인 역할이다 보니 북한어를 어느 정도로 사용해야 할지 윤종빈 감독과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많이 했다. 실제로 북한에서 사용하는 말을 그대로 사용하면 한국 관객들이 자막 없이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니까. 그런데 사실 이것보다 더 큰 문제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 있었다. 1990년대 냉전 시기에, 영화 속 거의 모든 인물들이 속에 있는 말과 밖으로 하는 말을 다르게 한다. 그로 인해 생기는 긴장감이 엄청났다. 말로 잘 설명할 수 없는데, 그 상황 자체가 살아 움직이면서 연기를 하면서 뭐라 말할 수 없는 혼돈에 빠졌다. 

Keyword

Credit

    에디터|김 지선,어시스턴트 에디터|이현준& 배준연 ,헤어|임해경,메이크업|임해경,사진|Zoo Yonggyun,스타일링|양유정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