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플러스 첫 오리지널 사극 시리즈 '탁류' 로운・신예은・박서함의 바자 10월호 화보 공개
바자 10월호에 담긴 화보와 인터뷰로 디즈니플러스 첫 오리지널 사극 시리즈 '탁류' 주역들의 새로운 매력을 만나보세요!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9월 26일 공개되는 디즈니+의 첫 오리지널 사극 시리즈 <탁류>의 세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과 함께 한 ‘하퍼스 바자’ 화보가 공개됐다. <탁류>는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추창민 감독, 드라마 <추노>의 천성일 작가의 합작으로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혼탁한 세상을 뒤집고 사람답게 살기 위해 각기 다른 꿈을 꿨던 이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작품의 어떤 점에 끌렸냐는 질문에 로운은 “'장시율'이라는 캐릭터가 무척 강렬하게 다가왔다. 무조건 내가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극 중에 “나 심성 고운 놈 아니요”라는 대사가 나를 움직였다.”라며 장시율이라는 캐릭터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감독님이 미팅에서 “너의 가장 큰 무기를 빼앗을 거야”라고 말씀하셨다. 나 또한 깨고 싶은 벽이 있었는데 그건 바로 ‘잘생김’이었다. 이 작품을 보는 모든 분들이 로운이 아닌, 장시율 자체에서 매력을 느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조선 최대 상단의 막내딸로 장사를 하고 싶다며 당찬 포부를 밝히는 '최은'이라는 역할을 맡은 신예은은 “여성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로이 주장하는 게 어려운 시대였다. 그래서 주체적으로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할 때 그게 고집이 아니라 최은의 확신, 그리고 자신감에서 나오는 것이기를 바랐다. 예전 사극에서와는 달리, 무게감 있는 인물로 보이고 싶어 말투나 톤의 높낮이에도 신경 썼다. 어떤 상황에서도 맞서는 당당함이 멋진 캐릭터다.”라며 역할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소집해제 후 복귀작으로 처음 사극에 도전하는 박서함은 “<탁류>는 그냥 ‘해내고 싶다’는 생각이 앞선 작품이었다. 감독님을 만난 날 ‘만약 제 앞에 500억 개의 계단이 있다면, 반 계단만이라도 오르며 성장하는 게 목표다’라고 말씀 드렸다.”라며 이번 작품에 대한 소감을 전했다. 부정부패를 넘기지 못 하는 신입 종사관 ‘정천’에 대한 질문에는 “과묵한 성향은 나와 비슷하지만, 정천은 자기 감정에 훨씬 솔직한 친구다. 강직한 성품과 감정선의 변화를 섬세하게 표현하는 게 과제였다. 승마와 액션을 익혀야 했는데, 액션 스쿨에서 살다시피 했다.”며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해 노력한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촬영 현장에서 내내 웃음이 끊이지 않았던 이유는 세 배우의 '케미' 덕분이었다. 현장에서 함께 동고동락하며 오랜 시간 함께 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로운은 “왜냐하면 정말 다들 열심히 했다. 그건 자부할 수 있다. 촬영이 끝날 때쯤, 스물여덟 살의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연기를 한 것 같아서 후회가 없다고 감독님께 말씀 드렸다. 예은이, 서함이 형과 함께 매 장면마다 치열하게 고민했던 기억난다.”고 답했고, 박서함 역시 “현장에서는 늘 사극 분장을 하니까 이런 화보 촬영에서 멋진 모습으로 만나니 적응이 안 되더라.(웃음) 석우는 현장에서 100 이상의 감정을 줬다. 초 여름 밤 둘이 편의점에 앉아 어묵탕에 맥주 한 캔씩 마시면서 작품에 대해 얘기한 적도 있다. 예은이는 배려심이 깊어서 촬영장에서 자주 “대사 맞춰볼래?”라고 늘 말을 먼저 건네줬다.”라며 두 배우에 대한 고마움도 전했다.

끝으로, <탁류> 속 인물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세상에 맞서고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데, 배우들 역시 자신의 운명이나 상황의 반전을 위해 해보았던 경험이 있는지 묻자, 로운은 “심리학이나 철학에 관한 책을 많이 읽었다.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는데 정말 뭐든 하게 되더라. 그 때를 지나면서 내가 무언가를 정말 원하면 이룰 수 있을 거란 의지도 갖게 됐다. 오래 연기하고 싶고, 나중에는 할리우드에서도 일해보고 싶다.”며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같은 질문에 신예은은 “거창한 건 아니지만, 변화를 앞둔 순간에 스스로 생각하고 어떤 결정을 내렸다면 그것에 대해 후회하거나 뒤돌아보지 않는다. 그게 틀렸다고 해도 다시 좋은 방향으로 가게 만들면 되니까. ‘꾸준함’의 힘을 믿는다”라고 답했다. 이어 박서함은 “사람은 계속 변하고, 지금까지 했던 모든 활동이 하나도 헛된 순간이 없다고 믿는다. 결국 지난 시간을 후회하지 않고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자는 생각 뿐이다. 그 어느 때보다 긍정적으로 앞으로의 일들을 준비해 나갈 것이다.”라며 포부를 전했다.
배우 로운, 신예은, 박서함의 화보 및 인터뷰는 '하퍼스 바자' 10월호를 통해 만날 수 있다.
Credit
- 사진/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제공
2025 가을 패션 트렌드
가장 빠르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셀럽들의 가을 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