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부터 달라지는 것들 #이슈있슈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2023년부터 달라지는 것들 #이슈있슈

우리 삶에 영향을 끼치는 변동 사항들

BAZAAR BY BAZAAR 2022.12.16
사진 / Getty Images

사진 / Getty Images

 
1~2살 어려질 준비 되셨나요
내년 6월부터 우리는 모두 최대 2살 어려진다. 한국식 나이가 사라지고 만 나이로 통일되기 때문. 그동안 한국에서는 만 나이, 연 나이, 세는 나이로 나이 체계가 중구난방이었다. 이번에 변경되는 만 나이는 생일 때마다 한살씩 먹는 방식으로, 세계적으로 쓰이는 나이다. 해외에서 나이를 물어보면 만 나이를 계산하기 위해 한번씩 머리를 더 굴렸던 불편함도 사라질 전망. 당분간 한국에선 누군가가 만 나이로 자기소개를 하면 '한국식 나이'를 계산하느라 머리 아프겠지만.
 

일본보다 높은 최저임금?
내년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9620원이다. 올해 최저임금인 9160원 보다 5% 올랐다. 내년도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주 40시간·주휴 수당 포함)은 201만580원이다. 따져보면 내년 최저임금은 일본의 최저임금을 뛰어 넘는 수준. 16일 현재 기준 환율(100엔=952원)을 적용하면 1009엔이다. 일본의 지난 10월부터 내년 9월까지 평균 최저임금은 961엔으로 한국보다 낮다.  
 
애 낳으면 부모 급여 월 70만원
내년부터 아이를 낳으면 11개월까지 70만원의 '부모급여'를 국가에서 지급한다. 12~23개월인 1세 아기를 키우는 가정에는 35만원을 준다고. 가정 소득 재산과는 상관없이 모두에게 해당된다. 게다가 이후 2024년부터는 지급액이 각각 월 100만 원과 50만 원으로 늘어날 예정.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같은 결정은 출산과 양육 초기 가정의 소득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해, 또 어린이집 이용 시에도 같은 비용을 지급해 부모의 양육 선호를 반영한다는 취지다.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새해부터는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뀐다. 식품 판매 허용 기한인 '유통기한'이 1985년 도입된 이후 38년 만에 변경되는 것. 잘 쓰던 유통기한을 변경하는 이유가 뭘까. 환경이 연관돼 있다. 판매자 중심의 유통기한은 판매가 가능한 기한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기한 이후로도 섭취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대부분은 이를 버려야하는 걸로 인식해 식품 폐기 비용 증가, 환경 오염 문제를 불러왔다고. 예를 들어 두부는 유통기한 17일에서 소비기한 23일로 표시값이 6일(36%)가량, 생면은 35일에서 42일로 7일(20%) 는다. 과채음료의 경우 소비기한은 20일로, 유통기한의 11일에 비해 2배 가량 길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