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pixabay
그러나 아직 입국 시 격리가 남아있는 등 사실상 '입국 금지' 조치가 풀리지 않아 가지 못하는 의외의 나라들이 있다. 중국과 일본이 대표적인 예다. 22일 기준 외교부가 집계한 '코로나19 확산 관련 각국의 해외입국자에 대한 조치 현황'에 따르면 총 166개 국가·지역 중 50개국이 여전히 입국 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을 비롯해 한국인들이 많이 떠나는 대만, 홍콩, 마카오도 포함된다. 이들 국가는 올해 상반기 중엔 관광 목적으로 방문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은 검역을 강화하면서 하루 외국인 입국자를 7000명으로 제한하는 상황. 3차 백신 접종 증명서와 음성확인서를 지참하고도 3일 동안 격리해야 한다. 사실상 일본 여행은 불가능한 셈이고, 업무상 입국 등만 허용된다.
대만은 현재 관광 목적의 입국은 불가능하며, 예외로 입국을 해도 백신 접종 증명서와 음성확인서를 제출한 후 10일 동안 지정된 호텔에서 격리 생활을 해야 한다. 홍콩은 여행객의 입국을 전면 금지했다. 이들 국가 중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확인서나 백신 접종 증명서 등을 제출하면 입국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각국의 입국 관리 실무자의 판단에 따라 입국이 거절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한편 해외여행을 떠나기 위한 PCR 검사 비용도 만만치 않다. 4인 가족이 해외여행을 다녀오려면 PCR 검사비용으로만 100만원 이상 부담해야 한다고. 출국 전 1회, 입국 전 1회 등 2번의 PCR 검사를 해야 하기 때문. 인천공항에서 PCR 검사비용은 12만원, 미국 존 F 케네디공항은 26만원, 일본 나리타공항은 31만원, 독일 프랑크푸르트공항은 18만원으로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이 때문에 인천공항공사는 정부에 PCR 검사를 신속항원검사로 전환하거나, 유증상자·위험지역 입국자에 한해 PCR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