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 때리기가 필요한 당신을 위한 책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Art&Culture

멍 때리기가 필요한 당신을 위한 책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곳은 작고 네모난 기기가 아니라 실제 세계의 시공간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은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비인간 혹은 자연과의 연결을 통해 우리 삶을 물리적으로 인식하고 재정비하는 시도다.

BAZAAR BY BAZAAR 2022.01.02
지난 10월, 전 페이스북 프로덕트 매니저 프랜시스 하우건이 페이스북이 수익을 위해 사용자 간의 분열과 불안을 방치했다고 폭로했다. 지금까지 우리는 소셜미디어의 정보를 소비하며 관심을 지불하고 있던 셈이다. 정확히 말하면, 소셜미디어는 우리의 관심을 오래 묶어두기 위하여 분노와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적인 콘텐츠를 배치하여 우리를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미국 사회는 해당 문건이 공개된 뒤 큰 충격에 빠졌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달라진 건 없다. 그 후로 한 달도 지나지 않아 페이스북은 사명을 메타로 변경했고 24시간 지속되는 퍼스널 브랜딩에 대한 압박과 FOMO 증후근이 이젠 메타버스의 세계에서도 영원히 이어지게 생겼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의 저자 제니 오델(Jenny Odell)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사로잡힌 관심의 주권을 되찾아 다른 곳에 옮겨 심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얼마 전 배우 김태리가 자신의 취미라고 밝힌 버드 와칭 같은 것들. 저자는 말한다. “새 관찰의 절반 이상은 새의 소리를 듣는 것이기 때문이다. 새 관찰은 온라인에서 뭔가를 찾아보는 행위의 정반대에 있다.” 꼭 새가 아니라도 상관없다. 옆집에 사는 어린이, 우리 동네 미술도서관이나 나만 아는 한강 공원 야경 스팟처럼  ‘가까이에 있지만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결코 보이지 않는 것들’이라면. 이것들은 모두 작고 네모난 기기에서 빠져나와 우리 삶에서 더 중요한 무언가를 알아채기 위한 기반을 닦는 일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의 눈, 당신의 손, 당신의 숨결, 지금 이 시간, 당신이 이 책을 읽고 있는 장소. 이것들은 진짜다. 나도 진짜다. 나는 아바타가 아니고, 취향의 조합도 아니고, 매끈한 인지적 작용도 아니다. 나는 울퉁불퉁하고 구멍이 많다. 나는 동물이다. 다른 생명체가 나를 보고 듣고 냄새 맡는 세계에서 나 역시 보고 듣고 냄새 맡는다. 이 사실을 기억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아무것도 하지 않을 시간, 그저 귀 기울일 시간, 가장 깊은 감각으로 현재 우리의 모습을 기억할 시간 말이다.”
 
제니 오델을 따라서 나도 현재의 나와 나의 주변을 인식해본다. 나는 지금 논현동 〈바자〉 사무실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토독토독 키보드를 두드리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리고 내 등 뒤에 위치한 창문을 통해 강남대로를 지나는 자동차의 소음도 간간이 느껴졌다. 2021년 12월 14일 밤. 시계 바늘이 8시 43분을 가리키고 있다. 나는 오른쪽 다리를 꼰 채로 발끝을 까딱이면서 뜨거운 커피를 한 모금 마셨다. 이것들은 진짜다. 그리고 나도 진짜다. 

Keyword

Credit

    에디터/ 손안나
    사진/ 필로우
    웹디자이너/ 김유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