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생긴 반려동물 간호사, 어떤 일을 하나요?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새로생긴 반려동물 간호사, 어떤 일을 하나요?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 ‘동물 간호사’ 자격증 생긴다 #이슈있슈

BAZAAR BY BAZAAR 2021.09.17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에 반가운 소식! 이르면 내년 3월부터 동물병원에 방문하면, 수의사 외에도 전문 자격증을 가진 동물 보건사가 우리집 댕댕이를 케어하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수의사법 개정을 통해 동물보건사 자격증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반려동물 간호에 관한 첫 국가공인 자격증이며, 수의사법 개정에 따라 2022년 2월 첫 시험이 시행될 예정이다. 주 목적은 반려동물의 진료 산업 발전과 전문 일자리 창출, 동물 진료 서비스의 향상이다.
 
일반 병원으로 치면 ‘간호사’에 해당한다. 간호사가 의사를 보조하는 것처럼 동물 보건사는 수의사를 돕는 ‘동물 간호사’로, 이전에는 수의 테크니션으로 불리던 직업군이다.
 
수의 테크니션은 동물병원을 찾아오는 동물들을 컨트롤하고, 동물의 종류나 상태, 특성에 따라 케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경험과 지식이 요구되는 자리다. 국가는 동물 의료 복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동물보건사 자격증을 신설하게 됐다.
 
세부적인 업무로는 동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자료수집, 동물의 관찰, 기초 건강검진 등 동물의 간호, 보정, 투약, 마취 및 수술 보조 등이다.
 
그러나 동물 보건사가 동물병원을 개업하진 못한다. 동물보건사의 활동 전제 조건은 ‘동물병원 내 수의사의 지도 하’라고 규정돼 있기 때문. 그만큼 업무 범위도 진료 보조로 한정돼, 주사나 채혈 등 침습 행위는 불가능하다.
 
반려동물 인구 1500만명, 국민의 3분의 1이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우리나라는 반려동물들의 동물권을 지켜주는 관련 법안들이 새롭게 생겨나고 통과되고 있는 추세다. 동물권이 점점 더 주목을 받으면서, 전문 인력의 양성과 필요성이 앞으로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