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같은 김새벽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Celebrity

시와 같은 김새벽

최승자의 시 ‘청파동을 기억하는가’엔 이런 구절이 있다. “자주 너의 눈빛이 셀로판지 구겨지는 소리를 냈고.” 시인 황인찬과 함께 시를 읽어주는 라디오 〈시로 만난 세계〉를 진행하는 김새벽은 이 시로 시를 다시 보게 됐다고 말했다.

BAZAAR BY BAZAAR 2020.08.24
 톱, 스커트는 Eenk, 귀고리는 Leyie.

톱, 스커트는 Eenk, 귀고리는 Leyie.

최승자의 시 ‘청파동을 기억하는가’엔 이런 구절이 있다. “자주 너의 눈빛이 셀로판지 구겨지는 소리를 냈고.” 시인 황인찬과 함께 시를 읽어주는 라디오 〈시로 만난 세계〉를 진행하는 김새벽은 이 시로 시를 다시 보게 됐다고 말했다. “눈빛에서 셀로판지 소리가 난다는 그 표현을 읽는데, ‘아, 나 이거 알 것 같아’ 하는 마음이 들었어요. 겪지 않은 일이지만 그 순간의 정서가 훅 다가왔거든요. 이 문장이 나에게 각인되고, 그 단어가 나의 언어로 인지되는 경험 있잖아요. 이런 게 시구나, 했어요.”
 
수묵처럼 옅은 웃음을 짓고 자분자분 말을 잇는 김새벽은 자신의 연기가 그 시 같다는 걸 알까? 중학생 은희와 은희의 시절을 가슴에 품고 사는 이들의 무너진 마음을 세워준 〈벌새〉의 ‘영지’도, 지난한 삶의 잡음 속에서도 제 리듬을 지키는 〈얼굴들〉의 ‘혜진’도, 〈국경의 왕〉의 ‘유진’과 〈풀잎들〉의 ‘지영’도 그런 삶을 살아본 적은 없지만 어떤 순간의 기분과 마음을 떠올리게 한다. 그들의 삶 안에 여성의 마음을 만지는 서사가 있고 김새벽은 그 인물의 대사를 꼭 자기 말처럼 읊었다. 영지일 땐 영지가, 혜진일 땐 온전히 혜진으로만 보이는 건 ‘연기력’이라는 단어로 매길 수 없는 재능이다. 어떻게 그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살피려 던진 질문에 답 대신 부정이 돌아왔다. “아뇨. 안 돼요. 그냥 애쓰는 거예요.(웃음) 뭐라도 해보려고요. 만약 제가 정말 그 인물로 비춰졌다면 작품 속 상대가 나를 그런 눈으로 바라봐줘서, 내가 그 사람으로 보일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준 감독과 스태프가 있어서 된 걸 거예요.”
 
좀처럼 입을 열지 않으며 자기 안에만 머물 것 같은 김새벽은 의외로 그 주의가 바깥을 향해 있다. 배우가 된 것도 ‘사랑받고 싶어서’였고,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느낀 것도 함께 작업하는 동료와 감독, 스태프가 만드는 현장의 에너지 때문이라고 말한다.
 
톱, 스커트는 Eenk, 귀고리는 Leyie.

톱, 스커트는 Eenk, 귀고리는 Leyie.

“저는 사랑받는 걸 되게 좋아하는 사람이에요. 어느 날 방에 혼자 있는데 내가 이 세계를 살다가 갔다는 걸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채로 죽는 게 너무 싫더라고요. 나 사랑을 더 많이 받고 싶어. 그럼 뭘 해야 하지? 연기를 할까? 그런 흐름이었어요.(웃음) 그래서 바로 서울로 올라갔죠.” 그리고는 연기를 시작한 지 몇 개월 만에 (관객이 입장료를 사서 보는 영화를 기준으로 했을 때) 첫 주연 작품인 〈줄탁동시〉를 찍었다. “주유소 신이 있어요. 주유 기계 앞에 서서 연습을 하는데, 문득 행복한 감정이 드는 거예요. 현장의 온기가 나를 품어주는 기분이라고 할까? 아, 되게 좋구나. 이런 일을 계속할 수 있으며 좋겠다, 했죠.”
 
그 뒤로 김새벽은 30여 편의 영화와 두 편의 단막극을 찍으며 인상 깊은 연기를 펼친 배우에게 주는 다섯 개의 트로피를 받았다. 사랑은 받고 싶지만 칭찬엔 익숙하지 않은 그녀는 단단한 필모그래피를 앞세우고도 한동안 ‘배우를 계속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과 부딪혔다고 고백했다. 
 
내가 할 수 있을까, 잘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지금도 여전히 한편에 그런 마음이 있지만, 이젠 ‘뭘 더 해볼까?’를 생각하려고 해요. 뭐가 더 재미있을까? 난 뭘 더 할 수 있는 사람일까?
 
그 물음과 연결된 두 개의 답이 관객과 만날 준비를 마쳤다. 베를린 국제영화제 은곰상을 탄 〈도망친 여자〉와 〈킹 메이커〉가 적당한 개봉일을 찾는 중이다. 관객이 할 일이란 그가 찾을 더 많은 답들을 기다리는 것뿐. 김새벽은 10여 년, 3천6백50일 동안 고작 1백50일 정도만 현장에 있었다고, 앞으론 더 자주, 많이 촬영장에 나가고 싶다고, 약속 같은 의지를 다졌다.

Keyword

Credit

    글/ 류진(프리랜스 에디터)
    스타일리스트/ 윤지빈
    헤어/ 한지선
    메이크업/ 홍현정
    사진/ 김영준
    웹디자이너/ 김유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