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들이 가고 싶은 영화 속 장소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Art&Culture

영화인들이 가고 싶은 영화 속 장소

영화 그리고 휴식의 몽상

BAZAAR BY BAZAAR 2020.07.05

 DAKAR, SENEGAL

〈애틀랜틱스〉 마티 디옵
이제는 가까운 이웃 나라도 쉽게 갈 수 없는 시대. 영화 속이라면 아주 멀리 가도 되겠지. 작년 칸 영화제에서 흑인 여성 최초로 심사위원대상을 받은 마티 디옵 감독의 〈애틀랜틱스〉는 서아프리카 세네갈이 배경이다. 임금 체불로 힘들어하는 남자와 딴 남자와 결혼해야 하는 여자의 사랑이야기는 현실적이지만 신비롭고, 용감하지만 서글프다. 멀디먼 나라의 러브스토리에는 대서양으로 뻗은 세네갈의 바다가 여러 모습으로 등장한다. 남자를 집어삼킬 것 같은 두려움의 밤바다, 여자의 상실감이 가득한 새벽바다, 망령들이 깨어나기 시작하는 해가 지는 바다, 아름다운 사랑의 속삭임이 들리는 아침바다, 차분하지만 강렬한 영상과 사운드로 영화에 담겨진 세네갈의 바다들은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촬영했던 클레르 마통 촬영감독이 촬영했다. 영화를 보고 나서 홀린 듯 세네갈의 바다를 검색해보니 영화와는 조금 다르게 꽤 휴양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그래서 더 가보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박혜진(‘아트나인’ 프로그래머)
 

 

BUENOS AIRES, ARGENTINA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사랑에 빠질 확률〉 구스타보 타레토
친구가 지구 반대편으로 출장을 간다고 했다. 숙소가 나올 거라고 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춘광사설〉의 아휘와 보영, 보르헤스의 도서관 그리고 탱고.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대해 알고 있는 건 그게 전부였다. 모르는 채로 무작정 가는 것도 어쩐지 그곳과 어울리는 것 같았다. 두 번의 비행기 환승을 거쳐 만 하루 만에 다른 계절에 도착했다. 친구는 낮이고 밤이고 일 때문에 바빴고, 나는 혼자 있는 그 시간 동안 열심히 걸어 다녔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점 랭킹에 늘 오른다는 곳에 갔다. 오페라 극장을 개조한 인테리어가 눈길을 끌었지만 그게 다였다. 문학 코너의 보르헤스 섹션에는 몇 권 되지 않는 책들이 듬성듬성 놓여 있을 뿐이었다. 보르헤스가 말년을 관장으로 지냈던 국립도서관에 갔다. 외국인 관광객이 들어갈 수 있는 곳들은 한정적이었고, 서가를 복도에서만 바라보며 혼자 상상했다. 그래, 보르헤스가 이 바닥을 한 번쯤은 밟았을 거야. 그 외에도 꼭 가야만 한다는 장소들을 이리저리 걸어 다녔다. 산 텔모의 상인들은 아무리 봐도 바가지를 씌우고 있었고, 라 보카의 반도네온 연주자들은 사무실에서 일하는 회사원의 표정을 하고 있었다. 정열과 낭만은 지구에서 멸종한 게 틀림없다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생각했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사랑에 빠질 확률〉을 봤다. 뻔한 제목의 로맨틱코미디라 생각해 코웃음도 쳤던 것 같다. 하지만 짐작했던 그런 영화가 아니었다. 버스도 택시도 지하철도 타지 않고 걸어만 다니는 마틴은 ‘실패한 도시계획’의 산물 안에 틀어박혀 모든 것을 인터넷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엘리베이터를 탈 수 없는 마리아나는 실패한 지난 연애, 실패한 지난 꿈이 힘겨워 종종 울며 버티고 있었다. 이후로도 실패와 실패를 거듭한 뒤 그들이 갇혀 있던 ‘측벽'(영화의 원제. 사랑도 리콜이 되냐고 묻는 부류의 제목은 언제까지 이어질는지!)에 창문을 내고, 마침내 두 사람은 마주하게 된다. 사랑은 결과 중 하나였을 뿐, 목적은 아닌 영화였다.
 
이 영화를 보고 겨우 생각할 수 있었다. 시작을 잘못했구나. 부에노스아이레스는 관광지로 바라봐선 안 되는 곳이었다. 가야만 하는 곳을 가야 하는 곳이 아니었다. 여행의 기본을 새삼 깨우친 느낌이었다. 측벽에 창문을 내지 않으면 만날 수 없듯 틀에서 벗어나야 볼 수 있는 것들이 있는 법이니까. 다시 가보고 싶어졌다. 관광지가 아닌 도시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보고 싶어졌다. 한때 영화를 누렸던 흔적이 남은 도시를, 마르티나가 오르내리던 나선형의 계단을, 마틴이 어쩔 수 없이 걷던 길을 가보고 싶어졌다. 실패한 과거가 전부가 아닐 거라 기대하면서. 그러다 그 틈에서 무언가를 발견해도 좋고, 아니어도 좋을 거다. 어쨌든 남들이 가야 한다고 했던 곳들은 다 가본 셈이니, 이번엔 더 즐길 수 있겠지. 물론 그곳에서 사랑에 빠질 확률은 여전히 제로에 가깝겠지만. 
-정미은(번역가)
 

 

OHTARU, JAPAN

〈윤희에게〉 임대형
겨울 풍경은 마음 깊숙이 자리한 그리움과 외로움을 소환해낸다. 20여 년 전 가족의 억압으로 헤어져야 했던 윤희와 쥰이 편지 한 통으로 다시 연결되기에 이보다 맞춤인 계절은 없다. 〈윤희에게〉의 카메라는 한국 지방 소도시의 스산한 풍경과 일본 오타루의 눈 쌓인 풍경을 넘나든다. 바다 건너 이어지는 그 연결이 가슴 시리게 애틋했다. 다 떠나서, 첫 장면부터 나는 이 영화에 이미 지고 말았다. 삿포로에서 오타루로 넘어가는 기차 안에서 보게 되는 바다의 풍경들. 덜컹거리는 기차 소리가 오타루의 추억을 소환했다.
 
일본 홋카이도 지역을 여러 번 갔지만 번번이 오타루의 여름만 보았다. 기온이 낮은 지역이라 여름이 되면 피신하듯 찾았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에 담긴 곳들은 분명히 내가 지나치거나 머물렀던 곳인데, 계절이 다르다는 이유로 생경하고 또 훨씬 아름다웠다. “겨울 오타루에 가고 싶다.” 나도 모르게 영화를 보며 중얼거렸다. 물론 지금은 세계를 휩쓰는 전염병으로 발이 묶였다. 게다가 일본은 정치외교적인 문제까지 얽혀 있는지라 여행지로 선뜻 고르기 더 어려워졌다. 다만 이런 상상은 한다. 다시 간다면, 그리고 계절이 겨울이라면. 더위로 몸이 녹아내릴 것 같은 계절에 상상하는 겨울 여행은 산뜻하다.
 
윤희와 딸 새봄이 여행 중 머무는 오타루의 고급 온천은 고라쿠엔이다. 이곳에 머문 적이 있기에 금세 알아보았다. 예산을 무리해서까지 하룻밤 묵었던 건 지금도 잘한 결정이었다고 생각한다. 개별 온천이 딸린 다다미방은 미리 예약해야 하고, 숲에 둘러싸인 듯한 기분을 선사했던 공용 노천탕은 숙박객 모두가 이용할 수 있다. 따뜻한 물에 한껏 노곤해진 몸으로 방에 들어오면 차려지는 연회용 코스 요리인 가이세키의 맛과 차림새도 훌륭했다. 겨울에는 한층 더 좋을 것이다. 오타루 기차역 뒤쪽에 있는 조용한 마을인 도미카와는 극 중 쥰의 집이 있는 곳이다. 파스텔 톤의 지붕들이 인상적이다. 이곳에서 마사코 고모가 운영하는 카페 ‘오버로드’로 등장했던 초비차까지는 충분히 걸어서 이동할 수 있다. 팬케이크가 맛있는 곳이다. 밤이 되면 운하에 도착할 것이다. 윤희와 쥰이 재회했던 곳, 억지로 끊어졌던 두 사람의 시간이 다시 이어져 흐르기 시작한 그곳에.
 
임대형 감독을 인터뷰하며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오타루 사람들은 겨울에 패딩을 입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윤희는 쥰이 있는 곳에 더 어울리는 사람이기에, 오타루 여행 내내 패딩을 입은 딸과는 달리 코트에 머플러 차림이다. 가까이 가면 겨울의 냄새가 날 것 같은 윤희의 뒷모습이 떠오른다. 그 뒤를 따라, 눈 쌓인 겨울 오타루의 길에 발자국을 남기는 상상을 한다. 
-이은선(영화 저널리스트)

Keyword

Credit

    에디터/ 박의령
    사진/ 리틀빅픽처스,영화사 진진
    웹디자이너/ 김유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