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쇼핑에 보탬이 될, 패션업계의 지속가능성 인증 기관들.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착한’ 쇼핑에 보탬이 될, 패션업계의 지속가능성 인증 기관들.

알아두면 쓸데있는 지속가능성 인증기관 3탄

BAZAAR BY BAZAAR 2022.11.01
 BCI? GOTS? GRS? 친환경 의류 제품을 구입하거나 관련 기사를 접할 때마다 마주하는 어려운 용어와 낯선 로고들. 하지만 잘 알아두면 기업들의 무분별한 그린워싱을 가려내고 원료 및 공정에 들어가는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노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사실! 당신의 ‘착한’ 쇼핑 라이프에 보탬이 될, 패션업계의 지속가능성 인증 기관들을 알파벳 순으로 소개한다.
 
NSF International
위생 및 식품안전요구사항을 표준화하기 위해 미시간대학의 공중보건대학에서 1944년에 설립했다. 전 세계인의 건강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독립적인 글로벌 조직이며 스탠더드 팀은 공중보건표준의 개발을 촉진하고 서비스 팀은 제품 및 서비스를 테스트, 감사 및 인증한다. 여기에 섬유, 의류 및 신발 회사 등에 맞춤형 교육과 교육 리스트 관리 및 컨설팅 솔루션도 제공한다고. GRS(Global Recycled Standard), OCS(Organic Content Standard) 인증도 포함해 평가한다.
www.nsf.org
 
OCS
(Organic Content Standard)
5~100% 유기농 재료를 포함하는 모든 비식품에 적용되는 국제인증기준이다. 제3자 검사를 통해 최종 제품에 있는 유기 물질의 존재와 양을 확인하고 출처에서 최종 제품까지 원료의 흐름을 추적한다. 또한 OCS 100은 인증된 유기농 재료가 95% 이상 포함된 제품의 가공, 제조, 포장, 라벨링, 거래 및 유통을 다룬다.
www.textileexchange.org
 
PETA
세계 최대의 동물 권리 단체. 가장 많은 수의 동물이 오랜 기간 동안 극심한 고통을 겪는 4가지 영역인 실험실, 식품 산업, 의류 무역, 연예계에 주목한다. PETA 인증은 의류, 액세서리, 가구 또는 장식 제품에 동물이 사용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브랜드의 자체 감사로 진행되기 때문에 완전 비건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검증을 거치는 것이 좋다.
www.peta.org
 
SAAS
(Social Accountability Accreditation Services)
사회적 책임 기준과 규범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이 수행하는 활동을 감독하고 확인하는 인증기관. SA8000이라는 표준을 만들어 조직이 직장에서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관행을 개발하고 유지 및 적용하도록 권장한다. 브랜드 혹은 기업이 SAAS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이들이 비즈니스 운영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SAAS가 사용하는 엄격한 평가 및 품질 보증 시스템으로 인해 실제 해당 기업이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중이라고.
www.sa-intl.org
 
SAC
(Sustainable Apparel Coalition)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한 의류, 신발 및 섬유 산업의 선도적인 연합. 목표는 의류 산업이 불필요한 환경 피해를 일으키지 않고 사람과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힉 지수(Higg Index)라는 환경영향평가를 수치로 변환하도록 만들어진 지수를 활용해 환경과 사회적 노동 영향력을 측정하며 이를 통해 투명성과 효율성, 친환경적인 생산방식을 도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www.apparelcoalition.org
 
Standard 100 by
OEKO-TEX
섬유에 대한 안정성을 의미하는 가장 유명한 라벨. 이 마크가 부착된 경우 해당 섬유의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해 유해 물질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유아용 제품과 같은 가장 엄격한 요구사항을 통과한 클래스 1등급부터 실내 장식품, 액세서리를 포함한 장식 재료에 해당하는 클래스 4등급까지 총 4단계로 나뉘어 있다.
www.oeko-tex.com
 
WRAP
(Worldwide Responsible Accredited Production)
의류, 신발 및 봉제 제품의 공급망의 진실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 세계 최대의 독립인증 프로그램. 전 세계에 걸쳐 안전, 보건, 법률 및 인도적이고 윤리적인 제조 공정을 보장하는 12 WRAP 원칙(법률 및 직장 규정 준수, 강제 노동 금지, 아동 노동 금지, 법정 근로 시간 등)에 따라 작업장을 인증하고 있다. WRAP 인증 심사는 전체 생산 프로세스를 검사하며 소비자에게 제품이 윤리적으로 생산된다는 확신을 준다.
www.wrapcompliance.org
 
WFTO
(World Fair Trade Organization)
글로벌 커뮤니티이자 공정거래를 실천하는 사회적 기업의 검증기관. WFTO의 보증 제도는 노동자, 농민, 장인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에 초점을 맞춘 유일한 국제검증 모델이다. 독립적인 감사를 통해 해당 기업이 비즈니스 및 공급망 전반에 걸쳐 공정무역의 10가지 원칙(경제적으로 취약한 생산자를 위한 기회 창출, 투명성과 책임, 공정거래 관행 등)을 준수하는 기업임을 확인하고, 확인된 회원은 WFTO의 보장공정무역 제품 라벨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www.wfto.com

Keyword

Credit

    에디터/ 이진선
    사진/ 각 웹사이트
    디지털 디자인/ GRAFIKSANG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