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혜석, 이성자, 방혜자, 박래현, 천경자, 최욱경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나혜석, 이성자, 방혜자, 박래현, 천경자, 최욱경

다시 기억하다

BAZAAR BY BAZAAR 2023.06.13
천경자, 〈초원 2〉, 1978. ⓒ 서울특별시

천경자, 〈초원 2〉, 1978. ⓒ 서울특별시

 
박래현, 〈이른 아침〉, 1956.

박래현, 〈이른 아침〉, 1956.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추적하다 보면 문자 그대로 숨이 턱 막힐 때가 있다. 그러다가 온전한 문장으로 완성되지 못한 감탄사만 겨우 내뱉는다. 아니… 대체… 어떻게… 그런…. 트라우마의 역사 한복판에서 그토록 강렬한 예술혼을 불태우며 한없는 자유로움으로 살다 간 예술인들의 얼굴을 하나 둘 떠올려본다. 그러므로 말줄임표에 생략된 건 경외심이다. 소마미술관의 전신은 서울올림픽미술관이고 올해는 서울올림픽 35주년이 되는 해다. 소마미술관은 이를 기념하여 외국 문화가 유입되면서 서양화단이 형성되기 시작한 1920년대부터 서울올림픽을 통해 문화적 대변환이 일어난 1988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미술이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 조명하는 «다시 보다: 한국근현대미술전»을 열었다.

 
민족, 디아스포라, 여성, 추상, 조각을 키워드로 설명되는 5개의 소주제 중 단연 눈에 띄는 것은 한국의 여성 화가를 조명하는 ‘여성 또 하나의 미술사’ 섹션이다. 나혜석의 국경과 이성자의 은하수와 방혜자의 빛과 박래현의 이른 아침과 천경자의 초원과 최욱경의 환희를 본다. 아마 누구든 그 앞에서 형언할 수 없는 말줄임표를 떠올리게 될 것이다. 봉건, 유교, 가부장의 질곡을 딛고 일어선 근대 여성 미술가의 생애는 그 자체로 눈부신 역사이며 근대 여성 미술사야말로 페미니즘의 맹아이다. 여태껏 한국의 근대미술을 여성이라는 시각으로 조명한 전시가 한 번도 없었다는 사실이 뼈아플 따름이다.  
 
※ «다시 보다: 한국근현대미술전»은 소마미술관에서 4월 6일부터 8월 27일까지 열린다.
 

Keyword

Credit

    에디터/ 손안나
    사진/ ⓒ 소마미술관
    디지털 디자인/ GRAFIKSANG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