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요즘 패션 피플이 바지를 벗어 던진 사연
패션계가 하의를 벗어 던지기 시작했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켄들 제너
전혀 예상치 못할 때 놀라움은 배가된다. 지난가을 켄들 제너가 타이츠만 입고 거리를 누비는 모습이 포착됐다. 그가 선택한 룩은 보테가 베네타 2023 S/S 컬렉션. 늘 미니멀을 외치던 그였지만 하의까지 벗어 던질 줄이야. 이 사진은 한동안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고, ‘팬츠리스(pantsless)’ 스타일의 시작을 알렸다. 사실 옷을 거의 입지 않는 트렌드가 갑자기 등장한 것은 아니다. 최근 보디수트와 마이크로 미니스커트, 슬립 드레스, 란제리 룩 등이 런웨이와 레드 카펫을 지배해왔으니까. 더 새로운 것이 있을까 싶던 찰나, 하의를 벗기 시작했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바자> 3월호에 실린 ‘밖으로 탈출한 란제리’ 칼럼은 란제리의 등장이 팬데믹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격동의 시기에 란제리 패션이 답답한 몸과 마음을 해방해줄 돌파구로 작용했다는 것. 또 타인을 위해서가 아닌, 내 몸을 온전히 표현할 때 진정한 자유와 해방을 느낀다는 문화적 관점의 해석을 더했다. 신체가 자아 표현 수단이라는 영국 사회학자 크리스 실링(Chris Shilling)의 주장은 여기에 힘을 싣는다. 말하자면, 개인이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해 잘 가꾼 ‘몸’은 외적 영역의 자아라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팬츠리스 트렌드가 새로운 미(美) 의식으로 떠올라 마땅하다.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에서 발행한 이성희, 조규화의 논문 <속옷의 겉옷화 현상의 미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의미>는 크리스 이론을 인용해 속옷의 겉옷화 현상이 육체를 가시화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한다. 속옷과 겉옷 간 경계를 허물어 드러난 신체 부위가 스타일링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그들은 1990년 장 폴 고티에가 마돈나의 ‘블론드 엠비션(Blonde Ambition)’ 월드 투어를 위해 선보여 화제를 몰았던 ‘콘 브라(원추형 브라 디테일 톱)’의 탄생 또한 이와 같은 맥락으로 해석한다.

“너무 좋다! 내가 더 젊었더라면 나는 팬티만 입고 외출했을 것.” 미우치아 프라다가 2023 F/W 쇼가 끝나자 이렇게 말했다. S/S에 이어 F/W도 팬츠리스 아이템으로 물들 때 직감했다. 쉽게 저물 트렌드가 아니라고. 이 페이지 내 모든 활자가 한 목표를 향해 주장한다. 패션은 단순히 겉으로만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고, 안을 보여줌으로써 비로소 완성할 미(美)와 이를 통해 우리를 해방하자고. 그리고 하의를 벗어 던진 이미지를 모아 소개한다. 당장 집 밖에 나갈 때 하의를 입지 말자고 강요하는 대신, 표현을 멈추지 말라고 격려하기 위해.
Credit
- 에디터/ 윤혜연
- 사진/ Imaxtree(런웨이), Getty Images(벨라 하디드, 카일리 제너),
- Bottega Veneta(켄들 제너)
- 디지털 디자인/ GRAFIKSANG
Summer fashion trend
셀럽들이 말아주는 쏘-핫 여름 패션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하퍼스 바자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