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없는 세상을 꿈꾸는 관악, 동작구의 친환경 숍 #쓰레기없지도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쓰레기 없는 세상을 꿈꾸는 관악, 동작구의 친환경 숍 #쓰레기없지도

친환경 숍 사장님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친환경 전도사' 사장님들과 나눈 이야기

BAZAAR BY BAZAAR 2021.09.22

지속가능한 소비의 길잡이 ‘지구샵’

플라스틱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이 문제일 뿐, 적재적소에 사용된다면 가치 있는 소재임이 틀림없다. 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플라스틱 구매에 신중해져야 할 것! 하지만, 매번 쇼핑할 때마다 꼼꼼하게 확인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지구샵’은 이러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해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문화가 정착되도록 ‘환경 소비 길잡이’ 역할을 자처한다. 이곳을 운영하는 김아리 대표는 어떤 마음을 갖고 있을까?  
지구샵은 어떤 곳인가요?
모두가 쉽게 환경보호 활동에 참여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 이름 지은 곳이에요. 듣기만 해도 지구를 위하는 가게임이 느껴지지 않나요? (웃음) 원래는 지인들과 환경을 보호해야겠다는 생각만 갖고 재미로 시작했고, ‘제로 웨이스트’ 키워드를 가지고 여러 활동들을 실천하며 보다 더 진지하게 임하게 되었어요. 지금도 많은 분들이 관심 갖고 행동으로 보여주는 분들이 있기에 보람을 느끼고 있지만,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의 실천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생각해서 다양한 행사들을 준비하고 있어요. 또 환경보호와 관련된 콘텐츠를 만들어 배포하기도 하고요.  
환경보호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아직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친환경 삶은 불편한 일들이 가득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이 있죠. 그래서 ‘할 수 있는 만큼만, 불편하지 않을 만큼만 실천해 보세요!’라는 말을 전하고 싶네요. 원칙적으로 쓰레기를 ‘0(ZERO)’로 만드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더 많은 사람들이 실천할 수 있도록 재미있는 실천 방법들을 제시할 수 있도록 저희도 노력해야 할 것이고요.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어떤 걸까요?
숍을 운영하는 사람으로서 법적인 제약들을 많이 느꼈어요. 문제가 있을 때 여럿이 모여 좋은 방안을 모색하고 해결해 나가기도 했지만, 법적인 부분들은 해결할 방법이 없더라고요. 예를 들면, 낭비 없이 유통하기 위해 포장을 제거하거나 소분하여 판매하는 등의 방식들은 제약이 많거든요. 물론 모두의 위생과 안전을 위한 것이기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지만, 세상이 변하는 만큼 새로운 법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스콘 맛집 ‘브릿지엣지’

무분별한 플라스틱 컵 사용을 막고자 텀블러 할인제도를 실시하는 카페들이 늘고 있다. 텀블러를 가져오지 않으면 테이크 아웃이 불가능한 곳도 있으니 말이다. 브릿지엣지는 포장 용기를 챙겨오면 할인해주는 ‘용기내’ 매장이기도 하지만 자원 순환 센터의 역할도 하고 있다. 이런 공간을 만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 공간을 열게 된 계기가 궁금해요.
이곳을 열기 전, 창덕궁 부근에서 아름다운 커피를 운영했어요. 매출이 생각만큼 나오진 않았지만, 그런데도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공정무역이라는 가치 때문이었어요. 어떤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정무역에 대해 배웠다며 관심 갖고 방문하더라고요. 그 가치를 알아주는 손님들을 볼 때마다 ‘내가 하는 일이 그저 커피를 판매하는 것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이러한 신념을 바탕으로 ‘브릿지엣지’를 열었어요. 가게 이름은 저와 늘 환경 문제에 관해 이야기 나누는 가장 친한 친구가 지어줬고요. 공정무역과 환경이라는 ‘가장자리’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이 되고자 노력하는 곳입니다.  
제로 웨이스트 지향 카페! 어떤 실천들을 하고 계신가요?
텀블러와 포장 용기를 가지고 방문해 주시는 분들에게는 할인 혜택이 있어요. 그 뿐 아니라 자원순환을 위한 수거 센터의 역할도 하고 있죠. 주방에서는 친환경 아이템을 사용하고 있어요. 제가 사용하는 것 중 추천하는 것이 있다면 천연수세미와 소창 행주라 할 수 있겠네요. 아크릴수세미는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는 점이 걱정되잖아요. 천연 수세미는 통기성이 좋아 금방 마르고 자연 그대로의 것이라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죠. 소창 행주는 처음 길들여야 하는 약간의 단점이 있지만, 오래 쓸 수 있고 흡수력도 좋아서 위생적으로 최고죠. 매일 마감 때마다 소창 행주를 삶는데, 뽀얗게 된 행주들을 보면 괜히 쾌감을 느끼기도 해요. 살림하는 맛이 이런 것 아닐까요? (웃음)
앞으로의 계획은?
지금처럼 원재료 하나하나 신경 써서 스콘을 만들 거에요. 손님들이 ‘와! 스콘 맛있다! 공정무역 원재료들로 만든 거래!’ 하는 반응들이 나올 수 있도록 말이죠. 디저트를 통해 공정무역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싶어요. 자원 순환센터의 역할도계속해나갈 것이고요. 이런 활동들이 보여지면 무관심한 사람들의 마음도 동요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웃음)
 

불필요한 플라스틱 사용을 지양하는 ‘플라프리’

제로 웨이스트 숍은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공간이 아닌 환경 관련 지식을 나눌 수 있어야 하기에 끊임없이 공부하고, 캠페인 활동을 벌이며 바쁜 나날을 보내는 전주영 대표. 일상에 여유로움은 사라졌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친환경 실천에 참여하는 것에 뿌듯함을 느끼고 있는 그에게 질문했다.  
‘플라플리’는 어떤 곳인가요?
‘분명 과거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아도 세상이 돌아가곤 했는데 왜 지금은 플라스틱 없으면 살 수 없는 세상이 되었는가?’ 하는 생각으로 만들어진 공간이에요. 불필요하고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는 공간이라 말할 수 있겠네요. (웃음) 플라스틱을 대체할 다양한 생필품을 판매 중이고, 다양한 활동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여러 제로 웨이스트 숍을 비롯해 지역사회가 ‘연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희 숍 근처에 있는 시장에서 개인 장바구니 사용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캠페인을 개최할 생각이고, 동네 카페에서 사용되는 우유 팩 수거를 계획 중입니다. 폐 현수막을 업사이클링해 플로깅에 활용될 수 있는 가방을 만들어 배포할 계획도 갖고 있고요.  
사장님의 생활 속 친환경을 위해 꼭 실천하는 것은?
어느 기사에서 ‘비누가 세상을 구한다’라는 말을 봤는데 인상 깊더라고요. 그래서 저희 집에는 플라스틱 통에 담긴 세제, 화장품, 샴푸 등이 전혀 없답니다. 모두 알맹이만 사서 쓸 수 있는 고체 비누 형태의 제품이에요. 화장품의 경우 재사용 가능한 유리병에 든 제품을 사용하고, 이 또한 리필해서 사용하고 있어요.
유행이 아닌 지속적인 활동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요?  
그린 워싱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 저 또한 판매자로서 위장 환경주의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있답니다. 특히, 기업의 경우 사람들의 관심이 곧 마케팅에 활용되기 때문에 ‘제로 웨이스트’의 진정한 목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아요. 친환경적인 제품 구매가 목적이 아닌, 쓰레기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중점을 둬야겠죠.  
 

Weekly Hot Issue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