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듄' 세계관을 완성 짓는 코스튬.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영화에 실감을 더해주는 듄 코스튬에 대해 알아보자

프로필 by 홍준 2024.02.14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엄청난 서사와 장대한 스케일로 <듄>이라는 세계관을 세상에 널리 퍼트린 드니 빌뇌브(Denis Villeneuve) 감독. ‘듄 덕후’라고 잘 알려져 있는 그는 실제 같은 느낌을 주고자 요르단에 위치한 '와디럼'에서 직접 촬영하며, 잠자리 헬리콥터 '오니솝터'를 직접 만드는 등 진짜 '듄' 세상을 만들고 싶어하는 걸로 유명하다. 그 덕에 만들어진 전무후무한 스케일의 영화 <듄>. 잘생긴 티모시 샬라메, 방대한 세계관, 압도적인 시각 효과, 구매하고 싶어지는 코스튬까지 하나하나의 요소들이 영화에 입체감을 불어넣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공들여 만들어진<듄>은 원작에 대해 잘 모르고 봤던 사람들까지 단숨에 빠질 만큼 엄청난 매력을 지니고 있다.

<듄>이 많은 팬들에게 사랑 받은 이유 중 하나는 세계관 속 인물들의 배경과 분위기에 정확히 들어맞는 ‘코스튬’ 때문이다. 애니메이션이 아닌 분명히 실제 같은 느낌을 주고 싶었던, 드니 빌뇌브 감독은 <듄>의 의상을 최고의 코스튬 디자이너 재클린 웨스트(Jacqueline West)밥 모건(Bob Morgan)에게 맡겼고, 그들은 완벽하게 만들어냄으로써 영화에 사실감을 부여했다.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의상을 만드는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총 1000벌-2000벌 정도의 의상을 만들었으며, 200명 이상의 디자인 팀원들과 함께 했다. 드니 빌뇌브 감독은 <듄>이 전형적인 미래 공상 과학 서사시가 아니라, 역사를 바탕으로 인간들의 정치, 사회, 탐욕 등의 요소들을 철학적이게 시사하기 위해 의상 디자인을 요청했다.

사실, 프레멘들이 주로 입었던 ‘스틸 슈트’를 제외하고, 허버트 소설 전반에 걸쳐 의상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따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클린’은 영감을 얻기 위해 과거의 것들 뒤져가며 전부다 새로 만들어야 했다. 재클린이 과거의 역사들을 바탕으로 의상을 만들은 덕분에 <듄>이라는 세계관 속에서 괴리감을 느끼지 않은 채, 있는 그대로의 영화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럼 의상들이 어떻게 만들어 졌을지 한 번 알아보자.

스틸슈트: 스파이스를 지키는 아라키스의 유목민 프레멘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스틸슈트(Still Suit)'는 물이 부족한 아라키스의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프레멘들을 위해 땀, 눈물, 소변과 같은 체액 폐기물을 식수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아라키스의 혹독한 환경에서 적응하기에 필수불가결한 의상이자, 프레멘에 속한 폴(티모시 샬라메)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의상이다. 유일하게 원작 <듄>에서 거의 모든 형태를 알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기술되어 있었다.

이렇게 복잡하고 기술 집약적인 의상을 만들기 위해, 디자이너 재클린은 배우들의 몸에 다양한 기능성 원단들을 겹쳐 거의 150개의 개별 패턴 조각으로 맞춤제작 했다. 더불어 프레멘의 상징적인 마스크, 더스트 부츠 등 다양한 아이템들까지. 이렇게 한 세트를 만드는 데에는 2주라는 시간이 소요되며, 총 250개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 덕에 영화 속에서 전반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프레멘의 상징성이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었다.

한편, 스틸슈트는 어두운 회색인데, 극한의 온도에서 착용자에게 더 땀을 많이 흘리게 하고 이는 곧 더 많은 물을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물이 부족한 사막의 식수로 사용된다. 영화적인 측면에서 어두운 컬러로 만든 이유는 베이지 톤의 사막 모래로 가득한 아라키스의 배경에서 배우들이 더욱 잘 보이게 해주기 때문이다.

아트레이데스 의상: 몰락한 러시아 로마노프 가문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러시아 로마노프(Romanov) 가문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Doctor Zhivago 사진/ Warner Bros
<듄> 속 폴이 속한 아트레이데스 가문은 신뢰와 정의를 중요시 생각한다. 삭막한 아라키스와는 반대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특징인 ‘칼라단(Caladan)’ 행성이 본국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옷을 살펴보면 클래식한 재킷과 코트, 그리고 미니멀리즘적인 셔츠까지 깔끔하면서도 정적인 무드다.

이렇듯 부를 과시하기 보단 깔끔한 제복을 위주로 입는 아트레이데스 가문 복장은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왕조인 ‘로마노프(Romanov)’ 가문의 옷에서 영감을 얻었다. 당시 로마노프 가문의 옷은 듄과 매우 흡사하게 깔끔하며 귀족의 권위를 보여주는 의상이었다. 이는 '권력과 힘을 가졌던 귀족 가문이 마지막에는 몰락한다'라는 서사가 비슷했기에 로마노프 가문의 의상을 차용한 것 . 한편,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티모시 샬라메와 제이슨 모모아가 입었던 셔츠 디자인은 영화 <닥터 자바고>의 주연 오마르 샤리프의 셔츠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사악한 하코넨 전투복: 곤충의 껍질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악한 하코넨은 곤충과 같았고, 가죽은 벌레의 껍질을 닮았다. 칠흑같이 어둡고 음산한 기운의 하코넨 전투복은 공격적인 그들의 특징과 시커먼 속내를 표면적으로 보여준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와 웨스트의 인터뷰에 따르면, 하코넨의 의상은 딱정벌레, 개미, 거미 등과 같은 곤충으로 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실제로 겉갑옷은 딱정벌레처럼 검고 딱딱한 표면을 가졌으며, 헬멧은 개미 같은 실루엣을 보여준다.

한편, 영화 속에서 폴이 아리키스의 모래에서 기어다니는 검은 딱정벌레를 연구하는 장면이 있는데, 이는 자신의 가문을 몰락시킨 하코넨 가문에 대한 복수와 아라키스를 되찾기 위한 복선으로 여겨진다.

레이디 제시카 실크 드레스: 중세 복장과 발렌시아가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듄> 세계관에서는 ‘여자’가 더욱 강하게 묘사된다. 예언자, 즉 ‘선택받은 자’는 여자여야만 한다. 그렇기에 <듄> 속 베네 게세리트의 복장은 남성들의 복장보다 화려하다. 우아하면서도 단순한 실크 가운은 18세기 고야(Goya)와 13세기 지오토(Giotto)의 그림, 또 다른 스페인 아이콘인 크리스토발 발렌시아가의 작품을 모델로 했다.

가장 눈에 띄는 의상 중 하나는 레이디 제시카의 노란 드레스로, 중세 판타지 영화에서 나온 것과 같이 우아하게 늘어진 드레스와, 헤드 피스가 있다. 허버트의 <듄> 소설 속에서는 AI와 컴퓨터가 폐지되어, 장인정신이 돋보이는 수작업 의류들이 더 많다는 설정으로 그에 맞춰 모든 작업은 수작업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베네 게세리트의 가운: 타로, 체스, 수녀를 기반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베네 게세리트 가운은 타로, 체스, 수녀를 기반으로 했다. 영화의 초반부, 한밤 중에 엄숙한 검은 가운을 두르고 빗속을 걸을 때, 그들에게 느껴지는 음산한 기운과 오묘한 이미지는 중세 수녀들을 닮았다. <듄> 원작에 따르면 베네 게세릿의 가운은 정신세계와 신비주의 두 가지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타로 카드, 체스 조각 그리고 중세 수녀의 이미지를 활용해 장엄한 분위기를 의상에 담아냈다.

황제의 딸 이룰란 공주: 라반 20 F/W 컬렉션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사진/ Paco Rabanne 사진/ Paco Rabanne
<듄: 파트 2>의 새로운 등장인물 황제의 딸 이룰란 공주(플로렌스 퓨)에 대해 아직 공개된 바가 많이 없지만, 예고편 속에서 공격적인 실루엣의 헤드 피스를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룰란 공주의 헤드 피스는 라반(Rabanne)의 20 F/W 컬렉션 속에서 비슷한 아이템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중세 혹은 르네상스 시절 귀족 가문의 옷들에서 영감을 받았던 영화 의상들과 같은 맥락이다.

사진/ Warner Bros

사진/ Warner Bros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든 영화에 대한 '집착'. 한 분야에 집착을 하게 되면 불가능한 건 없다는 걸 보여주는 듯, 감독 드니 빌뇌브는 방대한 세계관에 구현이 쉽지 않았던 <듄>을 완벽하게 만들어냈다. 감독, 배우, 의상 디자인, 음악 감독, 분장 감독 등 다양한 스태프들의 노력이 합쳐져 만들어진 최고의 영화라고 꼽힌다.
한편, 곧 개봉할 <듄:파트2>의 작업이 끝난 시점에서 감독 드니 빌뇌브는 각본 작업을 잠시 멈추고, 다른 영화로 환기한 후 파트 3의 작업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영화사에 큰 획을 긋는 중인 <듄>의 앞으로 펼쳐질 시리즈를 기대해보자!




Credit

  • 사진/ Warner Bros_YALE UNIV
  • 참고자료/ 유튜브 Dune | Otherworldly Wears | Warner Bros. Entertainment
  • The Art of Costume Dune: The Next Generation of Costume in Sci-Fi by Estipc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