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크 패션에도 우아함이 필요한 시대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Fashion

펑크 패션에도 우아함이 필요한 시대

과격함보다는 우아함을, 반항심보다는 쿨한 애티튜드를 탑재한 2023년의 펑크 패션에 대하여.

BAZAAR BY BAZAAR 2023.09.01
 
1977년, 런던의 보(Bow) 스트리트에서 찍힌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모습. 반백 년 전 촬영된 흑백사진 한 장에서 동시대의 ‘힙’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니, 이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당시 비비안은 말콤 맥라렌과 연애 중이었으며 맥라렌은 펑크록 그룹 섹스 피스톨스의 매니저 일을 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킹스 로드에서 ‘세디셔너리즈(Seditionaries, ‘선동가들’이라는 뜻. 숍의 네 번째 이름이며 첫 번째 이름은 ‘Let it Rock’이었다)’라는 상점을 함께 운영했고 섹스 피스톨스의 스타일링을 담당하며 그들만의 펑크 문화를 구축해나가기 시작했다. 잘 알려져 있듯 1970년대의 펑크 패션은 무척이나 실험적이고, 또 도발적이었다. 싸구려 가죽이나 고무 소재로 만든 옷에 공격적인 장식을 덧댔고 포르노그래피가 담긴 티셔츠가 각광받았다.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그 선봉에서 획일화된 주류 패션에 반기를 들며 자신만의 독특한 비전을 펼치게 된다. 그 결과 1990년과 1991년 연속으로 ‘올해의 영국 디자이너(British Designer of the Year)’로 선정되었고, 영국 여왕으로부터 1992년 OBE(대영제국 훈장)에 이어 2006년 DBE(2등급의 작위급 훈장)를 수여받기도 했다. 1983년 첫 번째 파리 패션쇼를 시작으로 지난해 12월 29일, 8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영국 패션계의 여왕이자 펑크 패션의 대모(大母)로 대체불가한 영향력을 떨친 그녀. 그 존재감은 2023 F/W 시즌 런웨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타탄 체크, 코르셋, 대담한 드레이핑 등 웨스트우드의 유산과도 같은 요소들이 대거 등장했으니 말이다. 
 
 
BurberryBlumarineValentino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대다수의 결과물이 무척이나 ‘우아’하고, 또 ‘쿨’했다는 것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흑백사진 속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모습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헐렁한 티셔츠에 버클 장식의 조거 팬츠, 무심하게 벨트를 더한 그녀의 모습은 전형적인 펑크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지만, 그 영혼에 담긴 펑크 스피릿을 느낄 수 있기에. 이처럼 2023년 가을엔 대놓고 반항심이나 공격성을 드러내는 것이 아닌, 다채로운 영감과 어우러져 보다 정제된 방식으로 표현된 펑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스타일링에 있어서도 컬러풀한 염색 머리나 짙은 화장보다는 자연스러운 스킨헤드나 포인트만 살린 메이크업을 지향했고, 안전핀과 같은 터프한 액세서리를 내려놓은 채 각진 형태의 볼드한 주얼리와 스터드, 하네스 장식을 모티프로 한 피스로 힘을 보탰다. 대표적인 컬렉션으로는 발렌티노, 블루마린, 버버리, 펜디, 시몬 로샤, 그리고 그녀의 마지막 동반자이자 현 브랜드의 메인 라인을 이끌고 있는 안드레아스 크론탈러의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있다.
먼저 ‘블랙 타이(Black Tie)’를 주제로 한 컬렉션을 선보인 피에르파올로 피촐리의 발렌티노를 살펴보자. 남성 권위의 상징이던 셔츠와 수트를 해체하고 재구성해 완성한 룩들은 화려한 펑크 스타일과 만나 비로소 ‘젊음’을 얻었다. 셔츠 깃이 달린 블랙 미니 드레스가 펑크 스타일링과 어우러져 MZ세대들이 클럽에 갈 때 입을 법한 이브닝 룩으로 변신한 것이 그 예다. 한편 불타오르는 ‘B’로고가 런웨이를 장식한 블루마린 쇼에서는 펑크 전사로 거듭난 잔 다르크 군단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버클 장식으로 코르셋과 같은 느낌을 준 뷔스티에 톱, 스터드가 장식된 초커와 뱅글, 벨트가 눈길을 끌었고, 이 모든 것은 특유의 Y2K 감성과 어우러져 인상적인 컬렉션을 완성했다. 그렇다면 다니엘 리의 첫 번째 버버리 쇼에서 펑크는 어떤 방식으로 구현됐을까? 버버리 고유의 헤리티지(영국 그 자체인!)에 집중한 다니엘은 영국 특유의 펑크적인 요소들도 컬렉션에 주입했다. 리카르도 티시 시절엔 찾아볼 수 없었던 생생한 컬러 팔레트의 타탄체크, ‘장미가 항상 빨간색인 것은 아니다(Roses Aren’t Always Red)’라는 문구가 담긴 그래픽 티셔츠 등이 컬렉션에 활기를 더하는 데 감초 같은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고. 반면 펜디의 킴 존스와 시몬 로샤는 기존의 스타일에 펑크 스피릿을 불어넣음으로써 은근한 변화를 꾀했다. 펜디 특유의 이탤리언 시크와 어우러진 펑크적인 요소(하네스 디테일이 가미된 사이하이 부츠, 플리츠 스커트와 팬츠의 레이어드), 시몬 로샤 스타일로 로맨틱하게 변주된 펑크 드레스에서 이를 느낄 수 있을 것. 여기에 비비안 웨스트우드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와도 같았던 안드레아스 크론탈러의 웨스트우드 쇼 역시 그녀가 남긴 유산을 동시대적으로 재해석해 눈길을 끌었다.
 
 
FendiAndreas Kronthaler for Vivienne WestwoodSimone Rocha
 
 
“일부러 혁명을 일으키고자 했던 것은 아니다. 왜 한 가지 방식으로만 해야 되고, 다른 방식으로 하면 안 되는지 알고 싶었을 뿐이다.” ‐ 비비안 웨스트우드
 
 
펑크 패션의 탄생 배경에는 1970년대 경제 불황으로 절망에 빠진 10대들이 있었다. 히피들이 유토피아를 떠올리며 현실 도피를 꿈꿨다면 펑크족들은 미래에 대한 포기, 기존 권위 체제에 대한 저항심을 공격적이고 때론 충격적인 옷차림으로 표현했던 것. 2023년의 MZ세대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경제적 어려움이 야기한 불투명한 미래를 마주하며 포기하는 것으로 자기 위안을 삼고 있으니 말이다. 하이패션계에서 펑크의 약진은 어쩌면 시대를 투영한 자연스러운 흐름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회적 통념을 깨고 미래를 제시하는 패션의 잠재력”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그러했듯, 이 시대의 디자이너들은 펑크 정신을 보다 우아하게 풀어냄으로써 젊은이들에게 보다 아름다운 미래를 꿈꾸게 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다. 더 나아가 이 매력적인 피스들이 우리의 옷장을 풍요롭게 해준다면 더할 나위 없겠고.   
 
 

Keyword

Credit

    에디터/ 이진선
    사진/ Getty Images, Imaxtree(런웨이)
    디지털 디자인/ GRAFIKSANG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