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즌은 단연 '핑크'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Fashion

이번 시즌은 단연 '핑크'

이번 시즌만큼은 핑크가 내게 끊임없이 말을 걸어온다. “이래도 입지 않을 거야?”라고. 런웨이를 장악한 핑크의 자신만만한 자태를 주시하도록!

BAZAAR BY BAZAAR 2022.09.03
 
Carolina HerreraJean Paul Gaultier CoutureACT N°1Tom FordValentinoRichard QuinnChanel
“발렌티노에게 레드란 단순한 컬러가 아니다. 시들지 않는 마크이자 브랜드의 로고이며 아이코닉한 요소이자 가치다.” 발렌티노 가라바니의 말처럼 레드는 긴 세월 동안 발렌티노를 상징하는 가장 명확한 단어였다. ‘발렌티노 레드’라는 이름으로 펜톤 명예의 전당에 입성할 정도였으니. 그리고 최근 발렌티노를 설명하는 컬러가 추가되었다. 바로 ‘핑크 PP’.
이번 시즌 색 중의 색은 단연 핑크다. 거대한 레드 제국 발렌티노마저 핑크로 물들었다. 베이비핑크도, 더스티 핑크도 아닌, 짜릿한 핫 핑크로만 꽉 채워진 쇼는 강렬함 그 자체였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피에르 파올로 피촐리는 작정이라도 한 듯 인비테이션부터 81개 중 48개의 룩, 쇼 장까지 모든 것을 핑크로 중무장했다. 모든 이들의 시신경을 자극한 이 핑크의 이름은 ‘핑크 PP’다. 이는 창립자에게 바통을 이어받은 찬란한 유산, 즉 ‘발렌티노 레드’를 현대적이고 영속적인 것으로 만들고 싶다는 피촐리의 바람에 따라 펜톤 컬러 연구소와 협업한 결과물이다. 중첩된 핑크. 오로지 하나의 색에만 집중해 그 어떤 요소보다 모델의 캐릭터(분위기, 신체 움직임)와 룩의 조형적 요소(실루엣, 소재, 장식)를 부각시키며 쇼를 한층 드라마틱하게 연출했다. 이는 모든 이들에게 ‘가라바니의 레드, 피촐리의 핑크’라는 공식을 심어주기 충분했다. 컬렉션을 한 가지 색으로 채색한 후폭풍은 실로 굉장했다. 쇼 직후 젠데이아, 앤 해서웨이, 두아 리파, 글렌 클로스 등의 할리우드 셀럽들이 핑크 PP를 입고 멧 갈라와 칸 영화제 등에서 핑크빛 아름다움을 뽐냈으니.
이번 시즌 런웨이는 소심한 핑크부터 대범한 핑크까지 ‘핑크의 물결’로 넘쳐난다. 프라다의 가죽 코트, 베르사체의 뷔스티에 드레스, 로에베의 오프숄더 드레스, 리처드 퀸의 트렌치코트, 마이클 코어스의 베스트 수트, 돌체 앤 가바나의 파워 숄더 재킷, 아미의 테일러링 팬츠, 록산다의 윈드브레이커 등. 심지어 디젤과 액트 N°1은 보디페인팅을 더해 파격적인 핑크 인간을 완성했다.
 
DieselVersaceAmiDolce & GabbanaLoeweGCDSPrada
그렇다면 왜 핑크일까? 피촐리의 말에 답이 있다. “특유의 다면적 속성 때문입니다.” 핑크는 사랑, 관능, 에너지, 잔잔함, 희망 그리고 펑크와 반항적인 기질도 가졌다. 또 채도가 낮은 핑크는 공감을 표하며 심장박동 수를 낮추고, 강렬한 핑크는 폭발적인 에너지를 내뿜는 팔색조 같은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중 이번 시즌 주역은 도파민 수치를 팍팍 올려줄 핫 핑크다. 피촐리는 핑크 PP를 ‘모든 꿈과 희망, 즐거움을 담은 색’이라고 표현한다. 이는 비관적인 경제 상황과 끝이 보이지 않는 전염병 등 전 지구적으로 우울함과 무기력함이 만연한 사태를 더는 두고 보지 못하겠다는 디자이너의 긴급 처방과도 같다. 〈사이언스〉 논문에서 역시 ‘핑크=즐거움’을 뜻하며, 채도가 강렬할수록 긍정적인 에너지를 부여한다고 말한다. 일종의 컬러 테라피랄까? 과거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1937년 엘사 스키아파렐리는 쇼킹 핑크를 세상에 내놓았고, 제2차 세계대전 동안 공포, 상실, 박탈에 맞서는 희망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한편 Y2K 패션 흐름과 맞물리며 인기를 끌고 있는 바비 인형, 일명 바비코어의 시그니처 컬러인 ‘바비 핑크’ 역시 핑크 물결을 한층 풍성하게 만든다. 2023년 개봉 예정인 영화 〈바비〉를 촬영 중인 마고 로비. 인간 바비라도 된 듯 완벽 싱크로율을 자랑하는데, 특히 올 핑크 디스코 룩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틱톡에서 #barbiecore를 검색해보자. 수만 건의 핑크빛 피드가 당신을 반겨줄 테니.
이렇듯 이번 시즌만큼은 핑크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 전망이다. 핑크가 런웨이와 스트리트를 구분하지 않고 회색 도시와 건조한 마음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으니까. 피촐리는 누구나 핑크가 잘 어울릴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핑크를 입으면 근사해 보입니다.” 런웨이에서 보듯 이번 시즌엔 머리부터 발끝까지, 대담한 올 핑크 룩이 대세다. 단, 리얼웨이에서 토털 룩은 꽤 위험한 선택. 이때는 베이비핑크와 마젠타, 바이올렛처럼 채도가 다른 핑크를 톤온톤 조합하거나(샤넬, 톰포드) 그레이나 블랙 같은 톤 다운된 컬러와 매치하면 된다(오프화이트와 돌체 앤 가바나). 여전히 용기가 나지 않는다면? 여러 브랜드에서 자그마한 아이템으로도 준비했으니 뒷걸음치지 않아도 된다. 베르사체의 체인 백은 어떤 룩에든 산뜻한 포인트가 되어줄 테고, 미우 미우의 발레리나슈즈는 미니스커트와 완벽한 짝을 이룬다. 우아한 손짓을 연상시키는 발렌티노 장갑도 있다.
준이치 노무라의 책 〈색의 비밀〉에는 이런 문구가 있다. “핑크는 젊어지는 색이다. 핑크 블라우스를 입고 핑크 커튼을 친 방에서 생활했더니 용모와 몸이 젊어지고 성격까지 밝고 명랑해져 눈이 부실 만큼 미인이 되었다.” 명심하자. 지금은 그야말로 핑크의 시대다.
 

Keyword

Credit

    에디터/ 윤혜영
    사진/ Imaxtree
    디지털 디자인/ GRAFIKSANG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