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효진, 임수정의 관리 식단으로 알려진 마크로비오틱은 무엇?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Celebrity

배우 김효진, 임수정의 관리 식단으로 알려진 마크로비오틱은 무엇?

몸을 바꾸고 삶을 바꾸는 마크로비오틱

BAZAAR BY BAZAAR 2022.03.21
임수정, 김효진, 채정안, 이들의 공통점은? 평소 마크로비오틱(Macrobiotics)을 실천한다는 것이다. 대부분 마크로비오틱하면 가장 먼저 제철 작물을 뿌리부터 속살, 껍질까지 통째로 먹는 식사법을 떠올린다. 현미밥과 채소를 기본으로 한 식단 때문에 ‘마크로비오틱=채식’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마크로비오틱은 단순한 조리법이나 식사법이 아니다. 이름 그대로 거시적 시각(Macro)으로 생명(Bio)을 바라보는 학문 및 철학(Tic)이자 삶의 방식이다. 이것을 하루 세 번 반복하는 행위인 먹는 것을 통해 실천하는 것이다.
 
영양 과잉 시대라고 하지만, 정작 우리 몸이 필요로하는 영양소와 욕구는 충족되지 않아 새로운 음식, 더 많은 음식을 찾게 된다. 그런 이들에게는 마크로비오틱이 더욱더 흥미롭게 다가올 것이다. ‘클린 이팅’에 관심이 있는 사람도 지금부터 주목하자.
 
사진 김효진 인스타그램 @hyojin__0705
마크로비오틱의 3대 원칙
 
마크로비오틱에는 3대 원칙이 있다. 신토불이(身土不二), 일물전체(一物全體), 음양질서(陰陽秩序)가 그것인데, 쉽게 말해 내가 살고 있는 땅에서 자라는(신토불이) 제철 작물을 뿌리부터 속살과 껍질까지 전체를 섭취하며(일물전체) 재료의 성질을 이해해 중용의(음양질서) 식생활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 원칙의 안에서 육식은 물론 조미료와 가공식품 등 생산 과정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들도 자연스레 배제된다.
 
그럼 어떻게 먹을까? 계절에 변화에 맞춰 내 체질과 상태에 따라 자연스러운 밸런스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조리법과 먹는 법을 조절하며 먹는 것이 마크로비오틱 식생활이다. 현재 나의 에너지 상태를 인지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식을 먹거나 차게 해주는 음식을 먹는 등 인간 본연의 자생력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다 보면 자연스러운 삶의 리듬과 건강을 찾게 된다.
 
사진 김효진 인스타그램 @hyojin__0705
마크로비오틱을 삶으로 들이기
 
마크로비오틱은 학문이기 때문에 이를 삶으로 들이려면 마크로비오틱 수업을 찾아 수강하는 게 가장 좋다. (배우 김효진 또한 2019년 마크로비오틱 식생활 지도자 과정을 마쳤다.) 그것이 어렵다면, 일단 자연과 내 몸에 귀를 기울이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그리고 자연의 변화에 따라 그 계절 가장 에너지가 풍부한 제철 식재료로 일주일에 한 번 나를 위한 식탁을 차려보자. 평범해 보이는 제철 채소에서 놀랍도록 풍부한 맛이 난다는 것을, 그리고 그 맛을 내 몸이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마크로비오틱은 데드라인을 두고 지켜야 하는 식단이 아니다. 균형을 찾아가는 것, 일상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