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이 아닌 플라스틱을 빻는 방앗간이 있다?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곡물이 아닌 플라스틱을 빻는 방앗간이 있다?

참새처럼 부지런히 모은 플라스틱이 튜브 짜개가 되어 돌아왔다.

BAZAAR BY BAZAAR 2020.11.02
플라스틱은 여전히 식지 않는, 앞으로도 식지 않을 환경 문제의 화두임에 틀림없다. 몇 달 전에도 칼럼을 쓰기 위해 플라스틱 없이 살아봤지만, 부끄럽게도 지속적으로 끊기에는 실패했다. 집이나 회사에서는 수월했지만 바깥 활동을 하는 동안 텀블러를 챙기거나 환경에 좋은 식사를 고르는 수고는 점점 줄어갔다.
 
그러다 플라스틱 방앗간을 알게 됐다. 글자 그대로 플라스틱을 빻아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곳. 곡물 대신 작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분쇄해 업사이클 제품을 만든다니, 쓸모 있는 데다 귀여웠다. 방앗간을 이용하려면 우선 참새클럽에 가입부터 해야 하는데 7월 1일부터 시즌제로 시작해 시즌 2까지 마쳤고 곧 시즌 3 모집이 시작된다. https://ppseoul.com/mill에 접속해 회원 가입을 하고 두 달 동안 모은 플라스틱을 방앗간에 보낸다.
 
분리수거 외에도 따로 플라스틱을 모아 보내는 이유는 플라스틱이 유독 재활용이 어려워서다. 지난 65년간 생산된 플라스틱은 8천3백만 톤이며 그중 버려진 플라스틱은 69%, 재활용된 플라스틱은 7% 남짓이라고 한다. 유리나 캔은 분리배출 표시에 재질이 따로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플라스틱은 재질 표시가 7가지다. 수축률이나 녹는점이 달라 같은 재질끼리 모아야 재활용을 할 수 있다. 플라스틱 방앗간에서는 녹였을 때 오염물질이나 유독성이 덜한 소재인 ‘PP’와 ‘HDPE’ 두 가지 재질만 활용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생수 병뚜껑이나 두부 등을 넣어 파는 식품 용기가 이 두 가지에 해당된다. 특히 병뚜껑이나 열고 나서 생기는 고리 등은 크기가 작아 재활용에서 탈락되는 경우가 많다니 개인이 열심히 노력해도 재활용이 어렵다는 현실에 살짝 배신감이 들었다.
 
이런 배신감을 느낀 사람이 나뿐만은 아니었나 보다.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을 위한 글로벌 커뮤니티인 프레셔스 플라스틱의 기획자 데이브 하켄스는 이렇게 말했다.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도구나 기계, 기술이 아닌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치 있는 자원으로 여기는 사고방식의 전환입니다.
플라스틱 방앗간은 프레셔스 플라스틱 서울의 캠페인. 안 쓰는 게 최고이지만 이미 발생된 플라스틱을 재활용 보다 한 단계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지닌 물건으로 만드는 ‘새활용’을 실천한다.
 
플라스틱을 얼마나 모아 보내든 튜브 짜개는 단 한 개만 돌아온다. 활용을 넘어 남용을 줄이려는 방안이다. 시즌1에서 모인 플라스틱은 2백56kg, 병뚜껑으로 따지면 8만3천3백30개 분량. 쓰레기로 돌아가 5백 년이 되어도 사라지지 않을 뻔한 플라스틱은 남은 소스나 치약을 끝까지 쓰게 해줄 제품으로 대견한 변신을 한다. 숙취해소를 위해 마신 오렌지주스의 주황색 뚜껑, 걷다가 더워서 무심코 사 먹은 생수의 핑크색 뚜껑, 다 먹은 마요네즈의 노란색 뚜껑이 한데 뒤섞여 손안에 쥐어질 때의 기쁨! 앞으로 사무실 등에서 단체로 모을 수 있는 둥지 클럽도 시작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바자〉 사무실에도 꼭 둥지를 틀어야지.
 
 

Keyword

Credit

    에디터/ 박의령
    사진/ 김연제
    웹디자이너/ 김유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