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를 탄 사람을 위한 동화는 없다?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휠체어를 탄 사람을 위한 동화는 없다?

“몰랐다”는 말이 변명이 되어선 안 되기에. 모두가 읽어야 할 세 권의 책.

BAZAAR BY BAZAAR 2021.04.18
 
 
‘당사자’ 입장에서 말하기는, 경청하는 이들의 각성과 이해가 세상을 바꾸는 변화를 불러올 때 특별한 힘을 갖는다. 〈휠체어 탄 소녀를 위한 동화는 없다〉는 가벼운 뇌성마비와 강직성편마비를 가진 어맨다 레덕이 동화를 포함해 널리 알려진 이야기 속 장애에 대한 편견을 짚는다. 동화 다시 읽기가 페미니즘 관점에서 활발히 재해석되는 오늘날, 이 책은 〈개구리 왕자〉부터 〈미녀와 야수〉 〈신데렐라〉까지 ‘누구나 알 법한’ 이야기가 어떻게 장애를 도덕적 결함과 관련지어 묘사하는지 들려준다. 〈배트맨〉 시리즈의 조커, 〈라이온 킹〉의 스카, 〈해리 포터〉 시리즈의 볼드모트가 변형된 얼굴을 한 모습으로 그려진다는 점도 생각해볼 만하다. 장애가 없는 어린이와 성인이 이런 이야기들을 ‘은유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안, 장애를 받아들이고 적응해야 하는 이들은 이야기로부터 소외된다는 지적이다. 
 
 
〈사이보그가 되다〉는 후천적 청각장애를 가진 소설가 김초엽과 휠체어를 타는 변호사·작가 김원영이 함께 쓴 책이다. 비장애인 기술자들이 가져오는 ‘장애인을’ 위한 기술이 정작 장애 당사자들의 필요와 마찰을 빚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장애 당사자가 직접 자신의 필요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은 그래서 중요한데, 현실 공간뿐 아니라 온라인 공간의 설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가 같이 언급된다. 게임을 예로 들면, 음성 채팅을 이용해 플레이하거나 사운드 단서가 중요하게 활용되는 경우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접근성 면에서 불리해진다. 
 
노들장애인야학에서 13년간 활동한 홍은전의 〈그냥, 사람〉 역시 함께 언급하고 싶다. “나는 그들이 부디 사라지지 않기를 바란다. 싸우는 사람이 사라졌다는 건 세상의 차별과 고통이 사라졌다는 뜻이 아니라 세상이 곧 망할 거라는 징조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라는 바위와 부딪히는 달걀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이들에 대한 글을 묶은 〈그냥, 사람〉은 활동가로 긴 시간을 보낸 저자의 너른 시야를 독자와 공유하게 한다. 비장애인이 알지 못했던 한국의 여러 제도가 어떤 방식으로 폭력을 행사하는지, 현장의 사례를 들어 말한다. “몰랐다”는 말이 변명이 되어서는 안 될, 실재하는 이들의 삶을 전한다. 세 권의 책은 “능력차별주의를 끝내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한다. 손상과 취약함, 의존에 대한 우리의 근본적인 태도를 바꾸는 식으로 우리가 미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제안이다. 그렇게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울타리 안에서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말이다.

Keyword

Credit

    에디터/ 손안나
    글/ 이다혜 (<씨네21> 기자, 작가)
    사진/ 사계절출판사, 을유문화사, 봄날의책
    웹디자이너/ 한다민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