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렌저, 진실 혹은 거짓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Beauty

클렌저, 진실 혹은 거짓

건조함과 트러블의 원인이 지금 쓰는 클렌저 때문이라고? <바자>에 도착한 민원을 뷰티 전문가와 상의했다.

BAZAAR BY BAZAAR 2020.02.27

OH!

MY

CLEANSER

 
미셀라 워터 클렌저는 씻지 않아도 된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며칠 물 세안을 생략했더니 자잘한 트러블이 올라왔어요.
 
워터 클렌저가 오일 타입 메이크업까지 지울 수 있는 건 세정용 계면활성제 덕분이다. 물로 헹궈내지 않으면 계면활성제가 피부 표면에 남아 있는 셈. 물론 이 성분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 전공 외래교수 유선희는 이렇게 설명한다. “실험용 세포를 씻을 때도 세정용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정도로 깔끔하고 자극이 적습니다. 다만 이것으로 클렌징하고 물 세안을 하지 않는 건, 마치 다 먹은 밥 그릇에 보리차를 부어 마신 후 설거지를 건너뛴 것과 같아요.” 게다가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는 메이크업 잔여물이나 노폐물이 남아 있다가 모공을 막으면 트러블로 이어진다. 유선희는 특히 지성과 여드름성 피부, 예민한 피부라면 꼭 물 세안을 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꼼나나 메이크업 아티스트 박상은은 화장솜이 원인일 가능성도 있다고 조언한다. 피부가 예민한 타입이라면 마찰 자체가 자극이 되기 때문. “화장솜에 워터 클렌저가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듬뿍 적셔 사용하세요. 부드러운 물성으로 최대한 부드럽게 닦아내면 자극이 덜할 겁니다.”
 

 
클렌징 오일과 폼 클렌저로 세안을 하다가 ‘예민한 피부는 클렌저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정보를 접하고 원 스텝 폼 클렌저로 바꿨어요. 그런데 피부가 더 건조하고 거칠어요.
 
MH 클리닉 김지선은 피부 타입이나 세정력에 따라 권장하는 제형은 있지만 그게 절대 기준이 될 수는 없다고 조언한다. “자신의 피부 상태나 메이크업 정도, 선크림 사용 유무 등에 따라 세안제의 종류와 횟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메이크업이 짙거나 미세먼지가 많은 날이라면 예민한 피부도 2중 세안을 하는 것이 피부 건강에 좋다. 박상은은 “메이크업까지 한 번에 지워준다는 폼 클렌저는 세정력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제품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제품은 예민한 건성 피부에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단계를 줄이고 싶다면 오일 클렌저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해요. 산뜻한 느낌을 더하고 싶을땐 이후 약산성 폼 클렌저를 쓰고요.”  
 

 
지성 피부에 좋다는 젤 클렌저를 사용하고 있는데 세안 후 건조함을 느낍니다. 오일 클렌저를 사용해도 될까요?
 
우선 어떤 젤 클렌저를 사용하는지 체크하자. 젤 타입도 클렌징 오일 못지않게 유성 성분을 많이 함유한 제품과 가벼운 수성 타입이 있다. 수분이 부족한 지성 피부라면 후자를 사용했을 때 건조함을 느끼는 게 당연하다. 참고로 ‘수부지’ 피부에게 〈바자〉가 추천하는 젤 클렌저는 부드럽고 촉촉한 세포라 컬렉션 ‘클린 스킨 젤’! 지성 피부라고 오일을 기피할 필요는 없다. “피지와 엉겨 있는 색조 화장의 오일 성분은 기름으로 가장 잘 지워지니까요. 중식 요리사가 요리용 프라이팬을 식용유로만 세척하는 원리와 같죠.” 박상은 역시 물로 헹구어내는 유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지성 피부도 트러블 걱정 없이 오일 클렌저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오일 클렌저가 영 부담스럽다고? 샤넬 ‘수블리마지 젤-투-오일 클렌저’처럼 시작은 젤, 이어 촉촉한 오일 제형으로 마무리되는 ‘젤 투 오일’ 제품에 도전하도록.
 

 
클렌징 밀크(로션)를 사용 중인데 화장이 완벽히 지워지지 않는 느낌인 데다 미끌거리는 촉감이 영 찝찝해요.
 
김지선은 밀크(로션) 타입 클렌저는 미끌한 촉감이 남을 수밖에 없는 설계하에 태어난 제품이라고 말한다. “일부러 보습 성분을 추가하고 세정 성분을 줄인 제품이거든요.” 따라서 부드럽고 촉촉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세정력이 떨어진다. “가벼운 메이크업을 한 날 적합한 제품이에요. 밀크 타입은 노폐물을 녹여내서 닦아내는 클렌저로 평균 30~40%의 유분을 함유하고 있어요. 건성에게 좋은 클렌저이지만, 그 촉촉함을 ‘덜 씻긴 것 같다’고 느낀다면 소량의 약산성 폼 클렌저를 추가로 사용하세요. 산뜻하게 세안을 마무리할 수 있을 테니까요.” 유선희의 솔루션이다.  
 

 
셔벗 제형 클렌저를 사용하면 매번 눈이 뿌옇게 흐려지는 듯한 느낌을 받아요.
폼 클렌저를 비롯한 각종 클렌저는 인체 세정용 제품으로, 아이 메이크업 리무버는 눈화장 제품류로 구분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SNS에 자주 등장하는 원 스톱 셔벗 클렌저, 즉 밤 투 오일 클렌저는 세정력이 뛰어나지만 전문가들은 아이 메이크업 리무버를 따로 사용하길 권한다. 특히 눈이 뿌옇고 자극이 된다고 느낀다면 사용을 금하는 것이 좋다. 박상은은 “립 앤 아이 리무버 없이 셔벗 제형 하나로 클렌징해야 한다면 손바닥에 제형을 적당량 덜어 체온으로 완벽히 녹인 후 사용하라.”고 조언한다. 밤 타입 클렌저가 속눈썹 등에 고체 형태로 걸렸다가 뒤늦게 녹아 눈을 뿌옇게 흐리는 일을 피할 수 있다.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파우더 타입 엔자임(효소) 클렌저를 매일 사용했어요. 처음에는 피붓결이 매끈매끈 윤이 났는데, 며칠 지나자 얼굴에 붉그레한 반점이 올라오더라고요.
 
엔자임은 단백질 분해 효소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각질을 분해하거나 탈락시켜주는 효과가 매우 훌륭하다. 하지만 피부가 두껍고 노화된 묵은 각질이 많은 피부가 아니라면 일주일에 2~3회, 저녁 세안 때만 사용하길 권한다. 특히 건성과 민감성 피부는 횟수를 더 줄이거나 지양하는 것이 좋다. 파우더가 완벽히 녹지 않은 상태에서 얼굴에 비비는 것도 잘못된 사용법. 파우더 분말을 손바닥에서 충분히 녹여 거품을 만든 후 사용해야 자극이 되지 않는다. 

Keyword

Credit

    에디터/ 백지수(프리랜서)
    사진/ 윤석우
    도움말/ 김지선(MH클리닉),유선희(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박상은(꼼나나)
    어시스턴트/ 주효정
    웹디자이너/ 김유진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