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자가 선정한 꼭 가봐야 할 새로운 뮤지엄 1편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Art&Culture

바자가 선정한 꼭 가봐야 할 새로운 뮤지엄 1편

현대미술의 외연을 확장하는 새로운 전시 공간.

BAZAAR BY BAZAAR 2019.10.08

BAZAAR ART’S PICK: NEW MUSEUMS

사진/ 텍스처 온 텍스처

사진/ 텍스처 온 텍스처

최만린미술관
한국 추상조각의 거장 최만린의 정릉 자택이 2020년 3월 성북구립미술관 분관으로 대중에 공개된다. 1988년부터 2018년까지 최만린 작가는 이 집에서 한국 고유의 독창적 조형성을 실험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 집의 특징인 높은 천장과 계단 등의 기본 골격을 살린 전시 공간은 삶과 예술이 녹아 있는 원형을 그대로 간직한 채 공공 미술관으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예정이다. 정식 개관을 앞두고 9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사전 개관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조각가의 서재>(가제)는 1층 수장고를 일부 공개하여 최만린 작가의 대표작 10여 점을 미리 선보인다. 2층 자료실에서는 작가의 작품 세계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 책들을 만날 수 있는 도서 전시가 열린다.
 
재료의 묵직한 물성과 반복적인 운동감이 느껴지는 최만린 작가의 작품. 사진/ 스톤 김, 최만린미술관 제공

재료의 묵직한 물성과 반복적인 운동감이 느껴지는 최만린 작가의 작품. 사진/ 스톤 김, 최만린미술관 제공

최만린미술관은 최만린 작가의 주요 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 조각의 오늘을 소개하는 역할뿐 아니라 지역 예술가들과의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에도 힘쓰고자 한다. 성북 지역에서 이슈가 되는 주제를 매년 하나씩 정해 리서치하고 아카이브 전시로 풀어내는 ‘성북도큐멘타’ 여섯 번째 프로젝트가 사전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성북도큐멘타6 <공공화원>은 성북 문화예술인 가옥 공공화의 현주소를 살핀다. 최만린미술관을 필두로 미술사학자 최순우 선생이 살았던 1930년대 근대한옥인 ‘최순우옛집’, 권진규아틀리에, 만해 한용운이 말년에 거주한 ‘심우장’ 등의 역사를 들려준다. 이곳들을 주제로 9팀의 현대미술가, 다큐멘터리 감독, 건축가들이 창작한 아카이브 작품을 감상하며 공간의 의의를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시그너처 재료인 섬유로프를 이용한 엄윤나의 설치 작업 ‘Pagoda of Invisible Value’, 티엘 디자인 스튜디오(TIEL Design Studio)의 샹들리에, 크림색 콘크리트에 투명한 아크릴이 조약돌처럼 박힌 랩크리트(lab.crete)의 계단 상판 등으로 꾸며진 1층 공간.

시그너처 재료인 섬유로프를 이용한 엄윤나의 설치 작업 ‘Pagoda of Invisible Value’, 티엘 디자인 스튜디오(TIEL Design Studio)의 샹들리에, 크림색 콘크리트에 투명한 아크릴이 조약돌처럼 박힌 랩크리트(lab.crete)의 계단 상판 등으로 꾸며진 1층 공간.

꽃술
꽃술은 ‘생활의 모뉴먼트’라는 모토 아래 한국의 젊은 디자이너들과 이들의 제품을 소개하는 디자인 바(Design Bar)다. 단순히 제품을 전시하는 쇼룸이나 갤러리가 아니라 직접 만지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가구와 생활 소품뿐만 아니라 커스텀 메이드 주방과 문 손잡이, 식물 한 포기, 국내 양조장에서 생산된 술과 음료까지 매장 내의 모든 제품을 판매한다. 효창동의 오래된 2층 주택을 개조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숍을 함께 운영하며, 오프라인 매장의 옥상 정원에서는 디자인 관련 이벤트와 옥상 팝업 전시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의 자생식물을 연구하며 가든 문화를 만들어가는 플로시스(Flosys)가 디자인한 옥상정원, 염색한 한지와 레진으로 몽환적인 가구를 만드는 손상우 작가의 ‘Kiri’ 체어와 테이블이 놓여 있다. 사진/ 신채영

한국의 자생식물을 연구하며 가든 문화를 만들어가는 플로시스(Flosys)가 디자인한 옥상정원, 염색한 한지와 레진으로 몽환적인 가구를 만드는 손상우 작가의 ‘Kiri’ 체어와 테이블이 놓여 있다. 사진/ 신채영

9월 공식 오픈을 앞둔 꽃술의 면면은 맙소사(marcsosa/김병국)가 인테리어 디자인을 담당하고 10여 팀의 아티스트가 참여해 거대한 혼종의 창작물이 될 예정이다. 맙소사/김병국의 바 & 주방 가구 디자인, 로와정의 파라솔과 테이블, 제로랩의 꽃술 로고를 모티프로 한 핸드레일 달린 계단하부장 등 이동식 기물 일체, 원투차차의 각종 디자인 선반,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이기도 한 곽철안의 테이블 등 현대미술 신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러 아티스트/디자이너의 창작물로 완성되었다. 꽃술의 방문객에게는 디자인 매거진 <타이거 프레스>와 제품 카탈로그가 음료 메뉴판과 함께 제공되는데, <타이거 프레스> 첫 호의 주제는 ‘효창동 77길 33’, 즉 꽃술에 대한 이야기다. 꽃술은 지극히 사적인 기념물로서 공간과 사물을 생각하고 일상 속 디자인의 가치를 발견하게 해주는 전혀 새로운 전시/쇼핑 공간이 될 것이다.
kkotssul.com 
 

 
<신물지> 전시 전경. 사진/ 우란문화재단 제공

<신물지> 전시 전경. 사진/ 우란문화재단 제공

우란문화재단
2014년 설립돼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해온 우란문화재단은 지난해 말 성수동에 신사옥을 짓고 전 예술 장르를 아우르는 창작의 장을 마련했다. 1970년대 산업화의 흔적이 남아 있는 성수동은 우리가 소비하는 모든 완성품이 결국 사람의 손끝에서 만들어진다는 사소한 진리를 일깨운다. 우란문화재단의 기획 전시들은 전통공예의 미감을 바탕으로 동시대 공예의 조형적·사회적 함의를 감각적인 디스플레이의 기획 전시로 선보이는 데 집중한다. 전통공예 장인들의 작업 과정을 되새기고 폭넓은 해석으로 공예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플랫폼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지난해 말 열린 기획 전시 <몸소>, 올해 1월 열린 <전환상상>에서는 전통공예 장인들이 제작을 대하는 엄격한 자세와 태도를 사진, 영상, 설치 등 다양한 시각 장르와 아카이브 자료로 구성해 소개했다. 얼마 전 끝난 <신물지>에서는 근대화 과정에서 지워진 민간신앙과 전통적 삶의 세계관을 한지로 제작된 종이 무구 공예품으로 살펴보았다. 신성한 물건, 한지라는 의미의 ‘신물지’는 한국인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거치는 통과의례인 관혼상제를 비롯한 금줄, 사주지, 지방과 같은 삶의 중요한 순간에 함께했다. 장인이 제작한 종이꽃 ‘지화’, 제주 굿에서 쓰이는 ‘기메’ 등이 소개되었고 김범, 이슬기, 이이난 등 현대미술 작가들이 종이 무구의 반복적 패턴을 현대적 조형언어로 재해석한 작품 등이 함께했다. 이어지는 전시로는 9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한국 민속놀이 속 ‘공동체’의 운영 원리와 ‘놀이’의 개념을 재해석하는 <터>(가제)가 예정되어 있으며 믹스라이스, 인도네시아 자티왕이에서 활동하는 자티왕이 아트팩토리가 참여한다. 
wooranfdn.org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