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독으로 사람을 치유하는 방법은?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Art&Culture

낭독으로 사람을 치유하는 방법은?

매일 30분. 책을 낭독하는 누군가의 목소리에서 발견하는 것은, 사랑의 모양이다.

BAZAAR BY BAZAAR 2023.07.19
〈요즘 저는 아버지께 책을 읽어 드립니다〉

〈요즘 저는 아버지께 책을 읽어 드립니다〉

 
 
바쁜 일상을 살며 우리는 누구나 마주할 미래를, 노년의 얼굴을 기꺼이 망각한다. 반대로 죽음의 문턱에서 다시 삶을 살게 된 이의 고백을 들으며 지난 삶을 되돌아볼 때도 있다. 주로 이런 이야기를 접할 때 우리의 태도는 현실의 실천과는 거리가 있고, 구도의 메시지를 취사선택하는 것에 가깝다. 
 
에세이집 〈요즘 저는 아버지께 책 을 읽어 드립니다〉의 저자 김소영은 제목처럼 날마다 책을 낭독해 아버지께 전한다. 13년 전 낙상 사고로 아버지의 신경이 마비된 이후 가족은 비극을 이겨내는 저마다의 방식을 터득한다. 그는 책의 치유 효과를 뜻하는 ‘비블리오테라피’라는 개념을 접하고, 책을 매개로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시작한다. 서점에서 책을 고르고, 아버지가 흥미로워할 내용을 살피고, 잘 전달될 방식을 고심한다. 
 
마케팅 컨설턴트로, 허스트중앙의 CEO 및 대표이사로 일해온 저자는 일하는 여성의 삶과 엄마, 그리고 누군가의 아내로 살아온 삶을 되짚으며 노년이 된 부모의 삶을 돌아본다. 성경 구절을 읽기도 하지만 비단 종교의 언어로 삶을 위안하기보다는, 사랑은 사소하고 분명한 행동에서 발한다는 사실을 친밀하게 알려주는 것이 이 책의 묘미.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을 겪게 될 때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도 남긴다. 
 
“십 수년 전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를 지켜보던 아파트 단지 감나무는 아직도 그 순간을 기억한다는 듯 올가을에도 생명력 가득한 짙은 주황색의 감들을 여럿 매달아 놓았다.” 
문장에서 마땅히 수고로운 일을 감수함으로써 자신이 믿는 것에 대해 책임을 다하는 개인의 얼굴을 본다. 계절과 시간은 흐르고, 삶을 매만지는 두 손은 부지런하다. 나와의 거리가 좁혀지는 어느 여성의 목소리를 듣는다. 

Keyword

Credit

    에디터 / 안서경
    사진 / 김래영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