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엔 여기! 안 보면 후회 할 전시회 3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주말엔 여기! 안 보면 후회 할 전시회 3

예술품이 놓이는 좌대 위에 태연히 자리를 차지한 채 그 자체로 예술품이 되어.

BAZAAR BY BAZAAR 2021.08.25

여기 고양이가 있다 

예술품이 놓이는 좌대 위에 태연히 자리를 차지한 채 그 자체로 예술품이 되어.  
〈따뜻하니 노곤하다,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스모키가 조각가 조너선 몽크의 〈풀 죽은 조각2(2009)〉를 만났을 때), 2020, Wood, latex, resin, synthetic fur, paint, animatronics, 10.2x50.8x34.3cm.

〈따뜻하니 노곤하다,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스모키가 조각가 조너선 몽크의 〈풀 죽은 조각2(2009)〉를 만났을 때), 2020, Wood, latex, resin, synthetic fur, paint, animatronics, 10.2x50.8x34.3cm.

에바 헤세, 수전 힐러, 브루스 매클린, 조너선 몽크, 톰 프리드먼의 논쟁적인 작품이 놓여 있던 좌대 위에 길고양이 한 마리가 낮잠을 청하고 있다. 현실과 예술을 느긋하게 연결시키며. 라이언 갠더는 말한다. “작품 속 고양이들은 시소의 한가운데에 앉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시소의 양쪽에는 현실과 가상, 그리고 예술과 현실이 놓여 있다”. 비단 고양이뿐일까. 그는 ‘창조’ 아닌 ‘발견’을 통해 우리의 삶을 낯설게 한다. 낙서가 적힌 지폐, 구겨진 편지, 눈이 쌓인 르 코르뷔지에 의자까지. 일상의 물건을 예술품처럼 관조하게 연출함으로써 관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전시장 벽 한쪽에 나 있는 작은 구멍을 들여다보자. 그 안에 숨어 있는 건 귀여운 인형 쥐다. 그는 이 인형 쥐에 6살 난 딸의 목소리를 입혔다. 아이의 말을 듣기 위해서 관람객은 무릎을 꿇고 몸을 웅크려야만 한다. 불편한 자세로 귀를 기울여야만 비로소 들리는 어떤 것들에 대해 생각한다. 빠르고 시끄럽고 산만하고 비윤리적인 세상에서 주의를 끄는 건, 때때로 사사로운 속삭임이다. 에디터/ 손안나
 
※ 라이언 갠더의 «변화율»전은 9월 17일까지 스페이스K 서울에서 열린다.
 
〈Casual〉, 2002, Color polaroid, 24x20 Inches.

〈Casual〉, 2002, Color polaroid, 24x20 Inches.

〈Cut to Reveal〉, 1997, Color polaroid, 24x20 inches.

〈Cut to Reveal〉, 1997, Color polaroid, 24x20 inches.

 
회화와 사진, 영상, 책까지 다양한 예술 영역에서 활동한 작가 윌리엄 웨그만(William Wegman). 그가 가장 두각을 보인 건 반려견인 만 레이(Man Ray)의 사진을 찍으면서다. 1970년 웨그만은 롱비치 해변을 떠돌던 바이마라너 종의 강아지를 가족으로 맞이해 존경하는 작가의 이름을 붙인다.(전설적인 예술가 그 만 레이가 맞다.) 만 레이를 시작으로 3대에 걸친 반려견은 지금까지도 웨그만의 카메라 앞에 선다. 담백한 초상화부터 옷과 장신구를 걸친 패션 사진까지 그들은 완벽하게 사진의 주인공이 된다. 동물을 인위적으로 꾸미는 행위가 인간의 이기일 수 있으나 깊은 유대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작업은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결과물로 작업 의도를 증명한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대형 폴라로이드 작품 〈Casual〉과 미공개 작품 50점 이상을 선보인다. 예술적 상상력과 정교한 연출력이 동물 피사체와 만나 탄생한 새로운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에디터/ 박의령
 
※ «윌리엄 웨그만: 비잉 휴먼»전은 9월 26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다. 
 
 

벚꽃이 피었습니다

데미안 허스트의 붓 터치에서 다시금 희망이 피어난다. 
View of the exhibition, Damien Hirst, Cherry Blossoms,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Photo: Thibaut Voisin

View of the exhibition, Damien Hirst, Cherry Blossoms,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Photo: Thibaut Voisin

View of the exhibition, Damien Hirst, Cherry Blossoms,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Photo: Thibaut Voisin

View of the exhibition, Damien Hirst, Cherry Blossoms,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Photo: Thibaut Voisin

 
포름알데히드 용액 속에 갇힌 상어 작품을 보며 “세상엔 이미 충분히 많은 ‘공포’가 존재하니 꽃이 담긴 페인팅은 어떻겠냐”고 했던 어머니의 ‘염원’ 때문일까. 데미안 허스트는 세계가 팬데믹으로 시련을 겪고 있는 올해 1백7점의 벚꽃 시리즈 페인팅을 공개했다. ‘악동’이라 불리던 그가 3년 동안 묵직하게 그려낸 벚꽃은 그저 아름답기만 하다. 두꺼운 질감, 물감 방울, 색채의 겹들은 잭슨 폴록의 힘이 넘치는 터치와 조르주 쇠라의 공들인 회화를 떠올리게 한다. 
 
View of the exhibition, Damien Hirst, Cherry Blossoms,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Photos: Thibaut Voisin

View of the exhibition, Damien Hirst, Cherry Blossoms,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Paris. Photos: Thibaut Voisin

 
데미안 허스트의 «체리 블로섬(Cherry Blossoms)»전은 아쉽게도 저 멀리 프랑스에 있는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미술관에서 열린다. 하지만 우리는 컴퓨터 앞에 앉아 전시의 감각적 경험을 확장하는 두 편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유튜브에 선공개된 〈Cerisiers en Fleurs - Le film 360°〉은 데미안 허스트의 목소리를 가이드 삼아 스튜디오의 공간과 작품을 면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영상이다. 곧 공개될 다큐멘터리 필름에는 그가 이번 시리즈를 어떻게 구상하고 작업하였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전시는 2022년 1월 2일까지 열리며 영상은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공식 유튜브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무료 관람할 수 있다. 어시스턴트 에디터/ 백세리


 

Keyword

Credit

    에디터/ 손안나,박의령
    어시스턴트 에디터/ 백세리
    사진/ 스페이스K서울,한가람미술관,현대미술재단
    웹디자이너/ 한다민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