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글꼴'을 아시나요? #지구해요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기후위기 글꼴'을 아시나요? #지구해요

점점 녹아 사라지는 디자인이 눈길을 끄는 글꼴

BAZAAR BY BAZAAR 2021.04.22
기후위기를 모티브로 한 글꼴이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핀란드 언론 헬싱긴 사노마트는 지구 상에서 점점 사라지는 해빙을 글씨로 형상화한 글꼴 세트를 최근 공개했다. 글꼴 이름은 '기후위기'다. 글꼴 '기후위기' 두께 총 8개에는 각각 '1979년', '1990년', '2000년' 등 9년~10년 단위로 '2050년'까지 이름이 붙었다. 일반 글꼴 두께가 '매우 두껍게(Black)', '두껍게(bold)', '가볍게(light)' 등으로 표현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두께 '1979년'에서 '2050년'으로 변할수록 글씨는 점점 얇아지면서 더 많은 부분이 물속으로 녹아 사라진 듯한 형상을 취한다. 헬싱긴 사노마트 측에 따르면 이런 두께 구성은 북극 얼음 두께에 관한 미국 국립 눈 및 얼음 데이터 센터(NSIDC)의 과거 측정 자료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예측 자료를 기반으로 점점 사라지는 북극 해빙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북극은 지구가열화(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아 지구 상에서 가장 빠르게 변하고 있는 지역으로 꼽힌다. 글꼴 '기후위기'에서 가장 두꺼운 '1979년'은 인류가 북극 해빙 두께를 처음 기록한 해를 의미하며, 협의체 측은 2050년이 되면 1979년에 비해 북극 해빙이 7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헬싱긴 사노마트는 글꼴 '기후위기'를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공개해 일반인은 물론 상업적 용도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단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에만 적용된다.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언론사 측은 글꼴을 구매하거나 다운로드할 때 글씨 모양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문장을 해빙 감소 피해를 직면하게 될 북극곰 관련 내용으로 구성해 심각한 상황에 대한 전달력을 높였다.

 
 
일반적인 글꼴 시문장은 '빠른 갈색 여우가 게으른 개를 뛰어넘는다(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로 통일된 것과 달리, 글꼴 '기후위기' 다운로드 페이지에서는 '빠른 북극곰이 갈색으로 변하고 게으른 여우와 함께 녹고 있는 빙하를 뛰어넘는다(The quick polar bear turns brown and jumps over a melting glacier with a lazy fox)'는 문장으로 사용자가 글꼴을 미리 살펴볼 수 있다.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사진 (Helsingin Sanomat) / 뉴스펭귄

글꼴로 환경 문제를 알리려는 시도는 이전에도 있었다. 전 세계에 멸종 저항이라는 단어를 알린 국제 환경단체 '멸종 저항(Extinction Rebellion)'이 그 주인공이다. 멸종 저항 측은 전 세계 멸종 저항 관련 단체에게 활동 시 자신들이 자체 제작한 글꼴 '큰일 난 대문자(FUCXED CAPS)' 사용을 권유하고 있다.
 
멸종저항이 사용하는 '큰일 난 대문자' , 사진 (Extinction Rebellion)

멸종저항이 사용하는 '큰일 난 대문자' , 사진 (Extinction Rebellion)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는 우리의 인식 수준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척도다. 지구 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해서 지구가 달아오르는 것을 온난화로 표현하면 우리는 그저 봄날 아지랑이 정도로 여기게 된다. 이에 뉴스펭귄은 앞으로 모든 기사에서, 기후변화(climate change) 대신 '기후위기(climate crisis)',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대신 '지구가열화(global heating')를 사용하기로 했다. 지구온난화는 지구기온 상승의 속도에 비해 지나치게 한가하고 안이한 용어이며 따라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급박한 지구 기온 상승에 맞게 지구가열화로 부르는 것이 맞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특히 환경부), 기업체, 언론 등에서도 지구온난화 대신 지구가열화를 사용할 것을 촉구한다. -편집자 주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