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단계 더 진화한 K-POP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Art&Culture

한 단계 더 진화한 K-POP

‘컬래버레이션’ 혹은 ‘협업’이 가지는 오롯한 힘에 그 무게중심이 존재하는 영역이 있다. 한 단계 진화한 K-팝이다.

BAZAAR BY BAZAAR 2019.02.16

K-POP 3.0

씨엘과 블랙아이드피스가 함께 만든 ‘Dopeness’ 뮤직비디오.

마냥 희망차게만 들렸던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이란 단어에서 이전 같은 설렘이 묻어나지 않는다. 문화의 분야와 장르의 간극은 점점 더 희미해지고, 새로운 자극에 대한 열망은 비대해져만 간다. 그래서 그럴싸한 ‘손’이 감지되면 일단 서로 붙들고 보는 풍속도 같은 게 생겨버린 건 아닐까. 혀를 감치고 드는 조미료에 감각 신경이 무뎌지듯, 무엇을 어떻게 합치느냐보다 그 조화가 얼마나 기상천외한지, 그 결과가 얼마나 예측불가한지가 컬래버레이션의 본질을 덮는 지표가 되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지난해 봄, 패션 브랜드 게스코리아는 동화약품의 ‘부채표 활명수’와 협업을 감행한다. 새로움인지 기묘함인지 헛갈리는 그때에 오뚜기 진라면은 스페인 초현실주의 화가 호안 미로의 작품과 협업한 30주년 패키지를 선보인다.

레드벨벳 웬디와 존 레전드가 함께 만든 ‘Written in the Stars’ 뮤직비디오.

지금 컬래버레이션 혹은 협업이 가지는 오롯한 힘에 그 무게중심이 존재하는 영역이 있다. 바로 한 단계 진화한 K-팝이다. 그간 미국의 팝스타들과 한국 뮤지션들 간에 간헐적인 협업이 존재해왔다. 지난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래퍼 박재범이 원곡 ‘Nothing On You’를 B.o.B 와 함께 ‘믿어줄래’로 리메이크한다. 같은 해, JYJ는 칸예 웨스트와 함께한 ‘Ayy Girl’ 로 화제를 모은다. 이윽고 2012년엔 원더걸스가 미국의 프로듀서 에이콘과 함께 ‘Like Money’를, 그 이듬해에는 여성 래퍼 미시 앨리엇과 지드래곤이 손잡고 국악적 터치가 인상적인 ‘닐리리야’를 부른다. ‘강남스타일’의 여세를 몰아 2014년 싸이는 래퍼 스눕독과 함께 만든 ‘행오버’ 뮤직비디오로 또 한번 화제의 중심에 서는 한편, 씨엘은 디플로, 윌아이엠 등의 걸출한 프로듀서 겸 DJ들과 작업을 거듭한다. 2016년 브루노 마스는 샤이니의 태민에게 ‘Press Your Number’라는 곡을 선물한다. 그리고 2017년 방탄소년단(BTS)의 활약으로 K-팝 컬래버레이션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체인스모커스가 피처링한 BTS의 ‘Best of Me’를 기점으로 미국 팝 신과 K-팝의 협업 양상에 가속도가 붙은 것이다. 작년 한 해 동안만 블랙핑크와 두아 리파의 ‘Kiss & Make Up’, 레드벨벳 웬디와 존 레전드의 ‘Written in the Stars’, 씨엘과 블랙아이드피스의 ‘Dopeness’가 세간을 놀라게 했고, BTS에게 다다른 수많은 팝 아티스트들의 러브콜은 말할 것도 없다. 랩 여신 니키 미나즈는 ‘Idol’을, 최고 인기를 구가하는 DJ 스티브 아오키는 ‘Waste It On Me’를 탄생시켰다. 런던의 일렉트로니카 듀오 혼네가 쓰고 RM이 노래한 ‘서울’은 서로 다른 문화와 정서, 언어, 두 뮤지션만의 독보적인 감성이 샐러드처럼 버무려진 곡이다. 서울 시내의 다양한 정취와 풍광을 담아낸 RM의 ‘서울’ 영상 아래, 5천 개 가까이 ‘좋아요’를 받은 어느 해외 유저의 댓글이다. “Before I die, I have to go to Seoul.”

방탄소년단과 니키 미나즈가 함께 만든 ‘Idol’ 뮤직비디오.

1990년대, 여러 기획사가 기획력과 연출력을 다지며 차근차근 스타 콘텐츠 비즈니스의 기본기를 쌓아가던 그 시절을 K-팝 1.0이라 한다면, 경제력과 기술력, 한국인 특유의 흥과 끈기를 밑천으로 키워낸 아티스트를 세계 무대에 세우고, K-팝만의 톤과 매너, 스타일을 공고히 하던 시기를 K-팝 2.0이라 할 수 있을까. K-팝을 팝의 아류가 아닌 하나의 코드, 미감, 태도로 제시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세계의 아티스트들과 어깨 나란히 공유하고 새로움을 도모하는 것, 그리하여 한국을 세계로 보냄을 넘어 세계를 한국으로 들이는 이 시기를 K-팝 3.0이라 감히 부를 수 있을까. 대형 기획사에 기회가 쏠리고, 전 세계가 아닌 미국 팝과의 협업에 치우쳐 있다는 한계점도 있다. 그럼에도 문화의 헤게모니가 머무르는 영미권 팝과 K-팝이 서로를 부지런히 재해석하는 세태는 퍽 희망적이다. 바야흐로 K-팝 3.0 시대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