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유희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오래된 유희

무인도에 세 권의 책을 들고 갈 수 있다면? 이 진부하면서도 흥미로운 유희에 움베르토 에코, 폴 오스터, 미셸 우엘벡 같은 작가들이 응했다.

BAZAAR BY BAZAAR 2018.08.07

프랑수아 아르마네의 책 '무인도의 이상적 도서관'에 수록된 스테판 트라피에의 삽화.

무인도에 세 권의 책을 들고 갈 수 있다면, 무슨 책을 가져가시겠어요? 진부해 보이지만 그 사람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는 질문이다. <무인도의 이상적 도서관>은 바로 그 오래된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프랑스 일간지 <리베라시옹>과 주간지 <르누벨옵세르바퇴르>의 편집장을 지낸 저술가이자 영화감독이기도 한 저자 프랑수아 아르마네는 작가 196명에게 “당신이 무인도에 갇히게 된다면 가져갈 책 세 권은 무엇입니까?”라고 질문한 뒤 그 답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일본의 오에 겐자부로에서부터 영국의 이언 매큐언까지, 1929년생인 밀란 쿤데라부터 1982년생인 파올로 조르다노까지, 지역과 세대를 망라하여 우리가 사랑하는 작가들의 답변이 실렸다.

이 고민은 사실 하루이틀 된 것이 아니다. 1913년 앙드레 지드는 잡지 기고글에 무인도에 가져가고 싶은 프랑스 소설 10권에 대해 썼다. 고등학교 졸업반 때 그는 친구와 새 학기가 될 때면 무인도에 가져갈 책 스무 권을 작성했는데, 지드에게 이는 양심의 선택이자 까다로운 실험이었다. “선택한다는 것은 나머지 전부를 영원히, 완전히 포기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그 나머지는 어떤 하나보다도 더 나아 보인다.” 그 글에서 지드는 <적과 흑>과 <파르마의 수도원> 사이에서 갈등하다 후자를 택했고, 발자크의 소설 중에는 <인간 희극> 대신 <사촌 베트>를 선택했다. 이렇게 한 권씩 채워가던 그는 9권까지만 꼽고 마지막 한 권은 독자의 선택에 맡겼다. 로빈슨 크루소 이야기를 다시 쓴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에서 투르니에는 로빈슨 크루소의 손에 <성경>을 쥐어준다. 심지어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조차 이 질문에 도전했다. 1938년부터 거의 시력을 잃어 저작의 4분의 3을 구술로 집필한 그의 드문 육필 원고 이야기가 이 책에 등장한다. 이 미발표 원고에서 그는 버트런드 러셀의 <수리 철학 서설>을 비롯해 대수학서, 형이상학 책, 역사서 중 한 권씩을 가져가겠다고 썼다.

우리와 동시대의 작가들 이야기는 더 흥미롭다. 바로 이 책이 질문하고 답을 실은 196명 작가들의 답이다. 폴 오스터는 무척 두꺼운 책이어야 한다고 운을 뗀 뒤 꼼수를 썼다. 셰익스피어 전집을 한 권으로 퉁친 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와 몽테뉴의 <수상록>을 언급했다. 공교롭게도 셋 다 동시대인이었다. <바다>로 부커상을 수상한 존 밴빌은 “섬에서 오래 지내야 한다는 가정하에, 나는 꼭 내가 좋아하는 책보다는 충분히 길고 치밀하며 끝없이 다시 읽을 수 있는 매혹적이고 시사적인 책들을 가져가겠다”면서, 시는 음악과 너무도 가까워서 반복이 결코 괴롭지 않다고 했다. 그러니 그의 첫 번째 선택은 놀랍지 않게도 <옥스퍼드 영시선>이나 미국 문학 선집이다. 그 외에는 자코모 레오파르디의 <지발도네>, 그리고 ‘정통 이탈리아 요리의 성서’라는 <일 쿠키아이오 다르젠토>를 가져가겠다고 했다. 요리법이 적힌 책을 꼽은 작가는 또 있다. 역시 영국 작가로,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로 부커상을 받은 줄리언 반스. 그는 시선집이면서 다람쥐 요리법도 실린 <즐거운 요리하기>를 선택하고, 프랑스 소설가 플로베르의 <서신>이라는 편지 모음집을 고르며 그 편지들이 자신에게 온 것이라 상상하며 읽겠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바이런의 <일기>.

스릴러소설 작가들은 또 다르다. 할런 코벤은 한 번도 읽지 않은 책들을 가져갈 것이라고 했고, 마이클 코넬리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리틀 시스터>와 로버트 쿠퍼의 <공개 화형>, 마지막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꼽았다. <아메리칸 사이코>를 쓴 브렛 이스턴 앨리스는 참고서적과 에세이만을 원했다. 데이비드 톰슨의 <인물로 보는 영화사전>, 영화평론가 폴린 카엘의 평론집 <영원히 간직하도록: 영화계에서 30년>, 그리고 소설가 조앤 디디온의 에세이 <우리는 스스로에게 이야기를 한다>를 선정했다. 의 작가 제임스 엘로이는 <몬테 크리스토 백작>, 제임스 존스의 <지상에서 영원으로>와 <달려오는 사람들>을 길다는 이유로 선정했다.

<나를 찾아줘>의 길리언 플린은 첫 번째로 빌리 콜린스의 시집을, 윌리엄 새커리의 <허영의 시장>을, 조이 윌리엄스의 <산 자와 죽은 자>를 선택했다.

선정한 책들을 보면 어떤 면에서든 작가와 닮아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미셸 우엘벡은 “나는 설문조사에는 절대 답하지 않는다”고만 적었다. 히라노 게이치로는 세 권을 적은 뒤, “네 번째의 책을 숨겨갈 것이다. 나는 소심하기 때문에, 무인도에서 살아남는 법에 대한 책을.”이라고 했다. 움베르토 에코는 전화번호부 한 권만 가져가겠다고 말했다. 전화번호부의 많은 이름들을 보면 무한한 이야기를 쓸 수 있을 거라고 말이다. 가장 자주 언급된 책은 무엇일까? 성경이 꽤 많이 언급되고, 셰익스피어 전집을 비롯한 그의 희곡들이 드물지 않게 보인다. 하지만 놀라운 빈도로 가장 자주 보이는 책은 바로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다. 무인도에 가진 않겠지만 나 역시 이번 휴가의 독서를 <돈키호 테>로 정했다.

Keyword

Credit

    에디터|Harper's BAZAAR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