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여넣기의 시대 || 하퍼스 바자 코리아 (Harper's BAZAAR Korea)
Lifestyle

붙여넣기의 시대

하루에도 트럭 몇 대 분량쯤 새로운 것이 쏟아진다. 협업, 창조, 스타일의 진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본다. 그러나 지금 시대의 문화와 패션은 어느 순간 쉬운 모방과 적당한 타협의 결과물로 가득 찼다. 붙여넣기의 시대의 오리지널은 무엇인가?

BAZAAR BY BAZAAR 2017.12.26

얼마 전 한 패션 화보에 스타일리스트로 참여했다. 친애하는 브랜드의 2018년도 봄/여름 컬렉션을 미리 영접하는 데 의의를 두고, 컬렉션 사진부터 시작해서 과거 브랜드가 영감을 준 출판물의 흔적을 더듬었다. 다른 나라에서 도착한 커다란 상자 두 개에는 완벽하게 정돈한 컬렉션 샘플 옷과 신발이 담겨 있었다. 친절하게도 수개월 전 파리 무대에서 선보인 차림새 그대로, 열 벌 남짓한 옷과 사진 프린트가 개별 포장되어 있었다.

촬영장에서 그 옷 그대로 가지런히 옷걸이에 걸고 구겨진 곳이 없나 어시스턴트와 확인하여 모델에게 입힌 후 사진가와 상의한 대로 다양한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으로 반나절 남짓한 작업을 마무리했다. 참여한 모두가 만족스러운 결과물이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마음 한 구석이 영 찜찜했다. 이미 ‘알고’ 참여했지만, 사실 이 촬영에는 어떠한 스타일링 요소도 들어가지 않았다. 옷의 앞뒤를 뒤집고, 재킷 단추를 채우거나 풀며, 신발을 벗기거나 다시 신는 게 스타일링의 새로운 정의가 아니라면 말이다. 브랜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이미 정한 유일한 차림새로, 다른 아이템이나 브랜드를 일절 섞지 못한 화보 작업을 스타일링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

요즘 패션 잡지에는 전 세계 온갖 매체 관계자와 바이어가 참석하는 패션 위크 무대에 한 번 오른 후 검증을 받은 브랜드의 스타일링을 그대로 사용하는 화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매체들은 저마다 성격과 지향점이 있는데, 표지에 나온 옷들은 컬렉션에서 수개월 전 본 룩을 그대로 복제하고 있다. 글도, 철학도, 무엇 하나 비슷한 점을 찾기 어려운 잡지들이 모두 동일한 스타일링의 결과물을 모델만 바꿔가며 선보인다. 패션 브랜드들이 시즌의 출발로 삼은 3월과 9월호라면 더 심해진다. 뎀나 바잘리아(Demna Gvasalia)가 이룩한 발렌시아가의 성취는 대단히 높지만, 변형한 플라이트 재킷에 야구모자를 눌러쓴 채 티셔츠 아래 후드 파카를 겹쳐 입은 소년들은 자세만 달리하여 모든 남성지에 들어찬다. 바뀐 것은 화보를 찍은 사진가들, 그리고 피부색과 인종이 다른 모델 정도일까.

패션 브랜드는 그들을 지휘하는 디자이너 혹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창조성을 고객(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독자적 ‘스타일(링)’을 건드리지 말 것을 공손히 요구한다. 한편으로 이해는 간다. 고심을 거듭하여 디자이너가 선보인 룩은 이미 그 자체로 완성된 작품이니까. 하지만 그 룩 그대로 입은 유명인사들은 가끔 걸어 다니는 마네킹처럼 보인다. 여기서 (사람들이 별로 지적하지 않는) 진실이 있다. 패션에서 ‘스타일’이란 무대 위 창작 그대로 거리에 나오지 않았을 때 빛을 발했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저마다의 해석으로 디자이너 옷과 장신구를 걸쳤기에, 여전히 새로운 것들이 존재할까 싶은 시대에도 새로운 무언가가 나타났다.

광고를 넘어 시대의 이미지이자 브랜드의 상징이 된 패션 사진의 역사가 이를 방증한다. 요지 야마모토와 닉 나이트의 1980년대 연작 캠페인, 에디 슬리메인이 포착한 도시 젊은이들의 흑백 사진, 어른이 되어가는 소년들의 불안감을 건드린 라프 시몬스 초기 컬렉션 이미지들은 일종의 현대적 고전으로 남았다. 미니멀리즘을 2010년식으로 실천한 피비 파일로의 첫 번째 셀린 컬렉션을 도전적으로 포착한 유르겐 텔러의 사진에서 받은 충격도 빼놓을 수 없다. 이런 것들은 이제는 완전히 과거의 일들로 느껴진다.

‘붙여넣기’는 스타일링 영역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2017년 가을, 헬무트 랭의 새 출발을 알린 셰인 올리버(Shayne Oliver)는 뉴욕 런웨이 무대에서 호평 받은 컬렉션을 만들었다. 패션계를 은퇴하고 예술가로 전업한 헬무트 랭 본인의 1990년대 컬렉션을 개정하여 ‘Re-Edition’이란 이름으로 헌정하고 판매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올해 가장 큰 주목을 받은 두 가지 협업은 슈프림과 루이 비통 남성복, 그리고 오프화이트가 재해석한 나이키의 상징적인 스니커즈 열 족이었다. 이 역시 도합 네 개의 브랜드가 이룩한 성취를 영리하게 섞어내고 조합한 변형이었다. 사람들의 지갑을 즉시 열게 하는 힘이 있었다는 데 이의를 제기할 마음은 없다.(엄청난 소셜미디어 피드를 보라.) 다만, 이런 모습들을 보면 지금이야말로 복제의 시대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것 같다. 아무도 과도한 모방과 참조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고유한 ‘스타일’의 지지자들은 사라지고 ‘트렌드’의 복제품이 범람하는 시대가 됐다.

그래서 패션은 예술을 바라본다. 이미 굳건한 사회에 부드럽게 저항하는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끊임없이 영향을 받는다. 지난 주말, 오랜만에 들른 갤러리에서 설명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설치 작업을 보았다. 안마의자와 여성용 가발, 동전 더미와 담배꽁초 같은 것들이 흰 상자 공간에 있었다. 작가의 의도대로 작업을 이해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예술품은 복제의 시대의 패션과는 전혀 다른 감흥을 주었다. 언제나 ‘진짜(Original)’는 주류를 가볍게 무시하거나 한 발 떨어져 세태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나왔다. 트렌드에 충실한 문화는 인기 있기 마련이지만, 결국 사람들이 오랫동안 진짜로 인정하는 것들은 변기에 이름을 붙인 예술가의 행위 같은 새로운 시도가 아닐까 생각하며 그 비밀스러운 공간을 빠져나왔다.

Keyword

Credit

    에디터|김 지선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